전체 글1225 기획이 어렵고 복잡해지는 이유 종종 중간 투입되는 프로젝트 기획을 보면, 프로젝트 설명만 듣고 보면 별로 어렵지 않은 기획 내용이 인수인계를 위해 실제 작업한 내용을 설명들을 때면 너무 복잡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대부분 이런 질문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획 대상이 무엇인가요?", "지금 결정된 내용이 무엇인가요?" 등입니다. 기획의 어려움과 복잡도를 높이는 간접 요인 기획 대상 시스템 또는 비즈니스가 복잡하고 어렵다면 기획자의 작업은 당연히 어려울 것입니다. 이는 기획의 어려움과 복잡도를 높이는 직접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마치 어질러진 방을 치우는 것처럼 이미 기획이 어질러져서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개발을 위한 시스템 기획, 앱 기획, 웹 기획의 경우 대부분 이런 경우입니다. 이미 개발까지.. 2024. 8. 25. 온라인 서비스 기획자로 강점과 특징 다양한 온라인 기획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개인적으로 정리된 내용을 이야기하려 합니다. 앱이나 웹 기획은 개발자와 디자이너들과 함께 팀을 구성할 때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온라인(앱/웹) 서비스 기획을 할 때는 개발자와 디자이너들과 함께 팀을 구성하지 않아도 효율적인 기획을 할 수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 기획, 개발자, 디자이너 개발 팀과 서비스 기획 팀 차이 흔히 SI, 웹에이전시가 앱과 웹 개발 외주를 할 때 팀을 앱과 웹 기획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 팀이라 합니다. 이 팀은 정해진 기간 완료해야 할 대상이 정해져 있는 앱과 웹의 개발을 목표로 한 일시적으로 구성된 팀입니다. 이 팀은 앱 또는 웹 개발이 완료되면 해체됩니다. 그러므로 특히 프리랜서의 경우 기간을 정해 계약을 합니.. 2024. 8. 17. 기획과 기획 작업의 차이 20년 넘게 기획 분야에서 일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는 2가지였습니다. 서로 다른 분야에서 기획을 하면서 국내는 기획이 약하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 이상 많이 듣는 말이 바로 기획자는 많은데 기획을 할 줄 아는 사람은 적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 다를 이야기는 두 번째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기획자는 많은데 기획을 할 줄 아는 사람은 적다는 말의 의미 일단 어떤 사람이 기획 부서에 전환 배치되어 사수나 상사가 요구하는 문서를 만들었다면 기획을 한 것이 맞습니다. 그러기에 기획자이기는 합니다. 그렇다고 이 이 사람이 기획을 할 수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단지 기획 부서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기획 부서는 있습니다. 사업 기획, 마케팅 전략, 광고 기획,.. 2024. 8. 16. 서비스 기획이 앱과 웹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기획이 없다고 해서 앱과 웹을 개발/운영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서비스 기획이 없다면 경쟁력과 수익성 있는 앱 또는 웹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됩니다. 이 이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기획 - 쿠팡과 위메프, 티몬은 무엇이 다르기에 최근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티몬과 위메프 사태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때 티몬과 위메프는 쿠팡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이었습니다. 분명 이용 측면 또는 개발 측면에서 본다면 쿠팡과 위메프, 티몬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심지어 오프라인 상점의 할인권을 주로 팔던 소셜커머스에서 종합 온라인 쇼핑몰로 진화하였던 전반적 플랫폼 변화조차 매우 유사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커머스 기능 측면에서 본.. 2024. 8. 15. UI 기획 구분 및 작업 UI 작업은 앱이나 웹을 사용자가 이용하게 만들기 위한 작업입니다. 한 마디로 앱과 웹의 이용 방식을 설계하는 기획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기획자 측면, 후자는 사용자 측면의 UI 설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UI는 조금 다른 기획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사용자가 앱과 웹을 이용하는 방식을 UI라 합니다. 여기서 생각해야 할 핵심은 이용입니다. 앱과 웹을 이용할 수 없다면 어떤 UI라도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이용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UI는 크게 사용자와 앱/웹 화면의 상호작용, 화면과 서버의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용은사용자와 앱/웹 화면의 상호작용에서 한번 이루어지고화면과 서버의 상호작용에서.. 2024. 8. 10. 앱 서비스, 웹 서비스 그리고 앱과 웹 차이와 유사점 일상에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앱과 웹 사이트는 앱 서비스, 웹 서비스라고 합니다. 그러나 개념적으로 보면 차이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비스와 앱/웹에 대한 차이와 유사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와 앱과 웹 이론적으로 보면 앱은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웹은 인터넷(웹)에서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를 의미합니다. 정확히는 코드로 이루어진 스마트폰용 프로그램, 웹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이 앱과 웹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앱과 웹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비스가 앱 서비스, 웹 서비스가 됩니다. 이 지점에서 앱과 웹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앱 서비스와 웹 서비스는 앱과 웹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사점 사용자 입장에서 앱 서비스,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2024. 8. 9. 기획에 대한 일반론. 기획 어떻게 할 것인가? 일반적으로 기획이라는 단어는 어느 분야에나 넣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획을 어떤 하나의 기능적, 기술적 분야의 하나로 보는 것보다는 과정의 한 단계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획은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또 어떤 일이든 진행되는 공통의 프로세스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획은 어떤 일을 하는 것인가? 광고 기획, 재무 기획, 사업 기획, 디자인 기획, 개발 기획, 생산 기획 등 기획이라는 말은 다양한 분야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기획은 어떤 일을 하는 과정 중 하나에 붙는 말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기획이라는 단어를 보면 계획이라는 말과 비슷한 말로 나옵니다. 또한 업무(실무)적 설명을 보면 어떤 분야의 일에 대한 목표를 설정한 후 이를 달.. 2024. 7. 28. 온라인 서비스 전략의 실행 차원의 앱과 웹 결정 아주 일반적인 온라인 서비스 전략의 실행에 있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앱으로 또는 웹으로 서비스를 할 것인가입니다. 앱의 경우 안드로이드와 iOS 서비스 전략을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스마트폰에 대한 대응의 경우 모바일 웹, 반응형 웹, 앱 중 어떻게 서비스해야 할지 판단해야 합니다. 온라인 서비스로의 앱과 웹 목표로 하는 잠재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방법(매체 또는 이용 디바이스)으로 앱과 웹의 결정은 기본 사항입니다. 웹의 경우 기본이 되는 PC 웹부터 스마트폰으로 이용 가능한 모바일 웹 등의 고려를 해야 합니다. 앱의 경우 스마트폰 구매 시부터 고려해야 하는 안드로이드냐 아이폰이냐에 대한 개발 및 서비스 방식에 대한 고려를 해야 합니다. 이는 누구나 아는 내용입니다. 그럼 왜 온라인 서비.. 2024. 7. 21. 이전 1 2 3 4 5 6 7 8 ··· 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