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이 없다고 해서 앱과 웹을 개발/운영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서비스 기획이 없다면 경쟁력과 수익성 있는 앱 또는 웹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됩니다. 이 이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기획 - 쿠팡과 위메프, 티몬은 무엇이 다르기에
최근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티몬과 위메프 사태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때 티몬과 위메프는 쿠팡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커머스 플랫폼이었습니다.
분명 이용 측면 또는 개발 측면에서 본다면 쿠팡과 위메프, 티몬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심지어 오프라인 상점의 할인권을 주로 팔던 소셜커머스에서 종합 온라인 쇼핑몰로 진화하였던 전반적 플랫폼 변화조차 매우 유사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커머스 기능 측면에서 본다면 지금도 끝 차이를 느낄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분명 무언가 다른 것이 있기에 지금의 쿠팡과 티몬, 위메프의 결과가 나타난 것일 것입니다.
이를 기획 일반 관점의 차이로 말하는 서비스의 차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앱과 웹을 개발하는 것은 크게 다를 것이 없을 것입니다. UI나 화면을 디자인하는 것도 쿠팡이나 티몬, 위메프는 서로 큰 차이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쿠팡, 위메프, 티몬 이용에 따른 차이는 분명히 있습니다. 바로 이 차이가 서비스의 차이인 것입니다.
앱과 웹 서비스와 서비스 기획
사용자들이 말하는 앱과 웹 서비스는 확인 가능하고, 이용 가능한 앱과 웹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기획자가 말하는 앱과 웹 서비스는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고, 이용 가능한 앱과 웹이 아닌 이용을 통해 느껴지는 감성과 평가를 의미합니다.
이런 이유는 앱과 웹이 개발되고 운영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획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왜 그런 앱과 웹의 기능이 개발되어야 하는가?, 왜 그러한 앱/웹 화면 구성을 가져야 하는가? 왜 이런 UI이어야 하는가의 근거는 바로 서비스 가설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가설은 앱과 웹을 통해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가설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가설은 이러한 기획/설계가 개발에 반영되어 실제 서비스되어야 비로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경우 인기 서비스나 1등인 앱/웹을 따라 비슷하게 하면 잘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기서 잘 될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바로 가설입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쿠팡이 국내 1등 이커머스라고 해서, 비슷하게 개발하고 운영해도 그 앱은 쿠팡은 아니기에 쿠팡과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는 없습니다. 때로는 이전보다 더 잘되기도 하고, 때로는 이전보다 더 안될 때도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비확정적 미래 결과 때문에 쿠팡처럼 하면 잘 될 것이라는 생각은 가설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서비스 가설과 앱/웹
앱과 웹은 코드로 구성된 사용자가 이용할 때 보게 되는 앱과 웹에 대한 것들을 말합니다.
쿠팡이 앱과 웹을 그렇게 개발한 이유는, 롯데온이 앱과 웹을 그렇게 개발한 이유는 모두 더 많은 매출과 이익을 올리기 위한 개발 결정입니다.
그런데 개발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것은 매출과 이익이라는 목표에 대한 방법에 대한 가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서로 다른 서비스 가설을 수립했기 때문입니다. 이 서비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앱과 웹을 개발하기에 기능적인, UI적인 형태가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이렇게 개발된 앱과 웹의 운영 과정은 온라인 서비스 가설의 검증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검증 결과를 통해 서비스 가설은 조정되고 다시 조정된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앱과 웹에 대한 추가 개발을 진행합니다.
요즘은 이를 POC(Proof Of Concept, 콘셉트 검)라 부르는 것 같습니다.
최소한 온라인 서비스 분야에서 POC의 기본 프로세스는
서비스 가설 수립 ▶ 서비스 가설 검증 환경 개발 (실험 환경 세팅으로 앱과 웹 개발을 의미합니다) ▶ 서비스 가설 검증
의 단계입니다.
크게 3단계로 구분하였지만 각 단계는 세부적인 하위 프로세스로 다시 구분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서비스 가설 검증 환경 개발'의 세부적인 작업과 단위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계획/관리하는 것을 앱/웹 개발 기획이라 지칭합니다.
앞서 온라인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업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 서비스 가설을 수립한다고 했습니다.
이를 다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POC(Proof Of Concept) 과정에 대입하여 보면 서비스 기획에 따라 앱과 웹이 개발된다는 사실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있어 보이는 용어 말고도 그냥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앱과 웹을 통해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위한 기획이라는 점에서 앱과 웹의 기능과 UI 등이 서비스 기획에 기반해야 한다는 사실은 알 수 있습니다.
'기획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이 어렵고 복잡해지는 이유 (0) | 2024.08.25 |
---|---|
기획과 기획 작업의 차이 (0) | 2024.08.16 |
앱 서비스, 웹 서비스 그리고 앱과 웹 차이와 유사점 (0) | 2024.08.09 |
기획에 대한 일반론. 기획 어떻게 할 것인가? (0) | 2024.07.28 |
온라인 서비스 전략의 실행 차원의 앱과 웹 결정 (0) | 2024.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