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87

페르소나 설정 실패, 요즘 개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중 하나 페르소나의 설정은 서비스 가설의 타당성을 높일 뿐 아니라 앱과 웹의 개발 범위 및 내용을 확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흔히 외주 개발 시 요구 사항의 근거는 페르소나의 니즈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앱과 웹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요구인 것입니다. 더하여 제 경험에 따르면 더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서비스 페르소나와 앱, 웹 개발 관계페르소나는 개발 전에 서비스 사용을 지칭하는 말이라면, 앱과 웹이 개발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됩니다. 그러므로 페르소나 설정을 못했다는 말은 지금 개발할 앱 또는 웹 사용자가 누구인지 모르고 개발을 한다는 말이 됩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첫 번째 개발의 실패 요인이 발생합니다. 앱과 웹이 단지 작동하는 코드가 아니라 온라인 서비스가 되기 위해서는, 이 코드로 된 .. 2025. 9. 11.
마케팅 페르소나와 온라인 서비스 페르소나 앱이나 웹 서비스 가설을 수립할 때 페르소나를 기준으로 서비스 설계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마케팅에도 페르소나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둘은 어떤 차이와 공통점이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기획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넓은 의미로 마케팅 페르소나는 우리 고객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마케팅과 서비스 기획 시 페르소나를 설정하는 이유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쓰는 SNS는 어떨까요? 이 SNS의 고객은 부모 세대와 아이 세대입니다. 부모 세대가 50대 전후라 하면 아이들 세대는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정도 될 것입니다. 그리면 사춘기 들면서 부모와 여행이나 외식조차도 꺼려하는 아이들이 SNS로 자신의 일상을 부모에게 보이고 싶어 할까요? 친구들과 놀고, 연인을 사귀고 하는 아이들 모습을 SNS에서 본 부모들은.. 2025. 9. 10.
향후 온라인 서비스 관련 진행할 조사 및 연구 비전과 계획에 대하여 온라인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같은 IT 디바이스로 이용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런 말은 서비스 공간적 제약은 없지만 정보의 제약성은 존재함을 의미합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및 정보의 구조화와 관리가 상당히 중요해집니다. 생각하는 온라인 서비스 본질과 이에 따른 서비스 설계 조건온라인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며, 서비스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됩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의 니즈와 요구는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됩니다. 서비스 제공 역시 프로그램, 시스템, 플랫폼, 앱, 웹 등 어떤 이름으로 불리는지 근본은 기업에 의해 의도되어 만들어진 구.. 2025. 9. 9.
앱 서비스에서 마케팅 근시안 및 해결 방법 마케팅 근시안은 기업이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물리적 속성에만 집착한 나머지 그 제품을 통해 소비자가 진정으로 얻고자 하는 편익이나 가치를 보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마케팅 근시안을 앱 서비스 분야에서 발생하는 예와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케팅 근시안의 대표적 예마케팅 근시안은 하버드 경영대학원 시어도어 레빗 교수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발표한 동명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어 알려졌습니다. 레빗 교수는 "철도회사가 쇠퇴한 이유는 여객과 화물 운송에 대한 수요가 줄어서가 아니라, 다른 운송 수단(자동차, 비행기 등)이 그 수요를 채우도록 내버려 두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철도회사들이 자신들이 사업을 제품 중심인 '철도 사업'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비행기나 버스와 경쟁.. 2025. 9. 5.
서비스 케이스 연구: 한국 스타벅스의 시작, 성장 그리고 현재 (1999년에서 2024년 스타벅스코리아) 우리는 서비스 기획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서비스가 경험 상품이라는 점에서 일상에서 매일 보고 이용하는 스타벅스는 매우 좋은 사례 교재가 됩니다. 그래서 간단히 스타벅스의 경험을 중심으로 그 변화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서비스 기획에 대해 더 잘 알게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스타벅스를 간단히 정리하면 1999년 이대 1호점을 시작으로 한국 사업을 시작한 스타벅스는 이전 믹스커피와 옅은 물 같은 내리는 한국 시장의 커피와 다른 에스프레소 기반의 다양한 메뉴라는 차별점 이외에도 이전 다방이나 커피숍 분위기와 다른 편안한 소파와 우드톤 디자인으로 완전히 다른 커피를 마시는 공간의 이미지와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이후 인기를 얻은 스타벅스는 직장인들 사이에 점심에 찾아가 아메.. 2025. 9. 3.
서비스 기획 케이스 스터디: 마켓컬리의 흑자 전환을 이끈 전략 2 - 뷰티컬리 서비스 전략 한때 쿠팡을 잇는 신선식품 새벽 배송의 기대주에서 IPO 철회 이후 마켓컬리는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덩치 큰 골칫덩어리로 전락했습니다. 그리고 수년이 더 흐른 2024년과 2025년 상반기 분기, 반기 흑자를 통해 다시 주목받는 유니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초기 주목받았던, 2024년 다시 회복했던 컬리의 서비스 전략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마켓컬리 서비스 전략 일반 사실 저는 마켓컬리 하면 전지현 광고가 생각납니다. 그리고 신선식품을 새벽에 배송해 주어서 바로 아침 식사를 요리해 먹을 수 있는 서비스라는 기억이 납니다. 이 광고 캠페인을 보면서 두 가지 생각이 머리에 떠 올랐습니다.직장인 및 1인, 신혼, 맞벌이 부부에게 정말 좋겠다는 생각쿠팡 로켓배송이 생각나면서 새벽 배송.. 2025. 9. 2.
서비스 기획 케이스 스터디: 마켓컬리의 흑자 전환을 이끈 전략 1 - 뷰티 시장의 이해 새벽배송 돌풍을 일으켰던 마켓컬리는 2022년 IPO 시도 후 2023년 1월 상장 철회를 합니다. 2022년에는 뷰티컬리가 론칭합니다. 그리고 2024년 1분기 마켓컬리 창사 이래 첫 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합니다. 이 흑자의 전환 당시 회사는 "뷰티컬리와 수수료 기반의 3P서비스 성장"을 이유로 밝혔습니다. 이런 이유로 먼저 뷰티 컬리가 속한 뷰티 시장을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에서 2024년 K뷰티2024년 마켓컬리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흑자를 이끈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뷰티컬리입니다. 그러므로 마켓컬리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뷰티컬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 좋을 것입니다. 마켓컬리 새벽 배송 및 전지현과 보라색으로 기억되는 비해 뷰티컬리에 대한 기억은 별로 없습니다. 그 .. 2025. 9. 1.
서비스 마케팅 전략의 실행 - 마케팅 믹스 4P에서 7P 시장에 투자를 해서 매출을 올리기 위한 마케팅 전략 실행을 위한 4가지 요소를 보통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프로모션(Promotion)이라고 합니다. 이를 마케팅 믹스(MM)라 하는데 서비스 상품인 경우 3개의 P를 더 추가하여 7P를 마케팅 전략 실행 요소라 하기도 합니다. 마케팅 믹스(MM) 4P와 7P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마케팅 믹스(MM) 4P는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프로모션(Promotion)입니다. 여기서 유형재, 무형재로 제품(Product)은 고정변수로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그 제품이 앱이냐, 웹이냐에 따라 제품 개발이 달라집니다. 앱의 경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용 앱이냐, 아이폰 용.. 2025.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