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25 젝시믹스를 레깅스 1위로 만든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온라인 마케팅에서 시작하여 자체 제품 판매를 진행한 끝에 젝시믹스를 통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다른 성공 케이스인 에코마케팅과 차이는 광고만큼이나 연구개발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제 안다르와 젝시믹스로 레깅스 경쟁자가 되었습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비중이 높은 미디어커머스 기업 젝시믹스는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라는 기업 소유 브랜드입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SNS 기반 미디어커머스 기업으로 2017년까지 매출이 미미하던 기업이었다가 젝시믹스의 매출이 본격화된 2018년 217억의 매출을 기록합니다. 지금은 믹스투믹스, 휘아, 젤라또팩토리 등의 브랜드가 있습니다. 그러나 젝시믹스는 2020년 기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매출 1397억 중 젝시믹스의 매출이 1093.. 2021. 8. 20. 마케팅 전략 개념과 목표, 브랜드 관계 그리고 마케팅 전술에 활용 마케팅 전략이 잘 수행되면 브랜드가 형성됩니다. 브랜드가 있는 기업은 광고, 홍보 활동에 유리합니다. 전쟁의 개념인 전략이 마케팅으로 와서 정리된 과정을 STP라 합니다. 그리고 전략에 의해 수행되는 마케팅 전술은 4P라는 이름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마케팅 전략의 개념과 목표 전략은 전술의 상위 개념으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을 의미합니다. 전략은 전쟁에서 나온 개념으로 짧은 기간 수행되는 전투(전술)보다 장기적 의미를 가졌습니다. 마케팅에 전략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은 시장에서 타 기업과의 경쟁을 통해 소비자 구매를 발생시켜 매출과 수익을 올리는 과정이 전쟁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마케팅 전략은 기본적으로 전쟁의 전략적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은 전쟁 지역을 .. 2021. 8. 20. 마케팅전략 관점에서 평가한 2020년 이전까지 안다르 마케팅 2017년부터 안다르는 확실한 국내 레깅스 1위 기업이었지만 전체 시장의 10%도 점유하지 못했고 브랜드도 구축하지 못한 상황에서 과점 기업 같은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실제 브랜드 포지션 다른 마케팅이 1위에서 매각으로까지 각광받던 기업을 떨어뜨린 것입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레깅스 시장과 안다르 매출, 영업이익 안다르가 설립된 2015년 이후 매출이 100억 원을 처음으로 넘어 181억 2천만 원이 된 2017년 국내 레깅스 시장 규모는 6801억 원 정도였습니다. 이미 6600억 원 이상 시장을 다른 기업의 레깅스가 차지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안다르는 국내 레깅스 시장을 열고 성장시킨 기업이라기보다는 기존 레깅스 시장 니즈와 다른 새로운 세그먼트 시장을 연 스타트업으로 평가되.. 2021. 8. 19. 젝시믹스의 성공 비결은 안다르라는 페이스메이커 겸 마케팅 스터디 대상의 존재 젝시믹스는 2017년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에서 만든 레깅스 브랜드입니다. 이미 안다르가 2017년에 181억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었으므로 시작부터 차이는 컸습니다. 그러나 안다르와 비슷하지만 다른 레깅스와 마케팅을 통해 2020년 드디어 역전에 성공합니다. 젝시믹스 매출로 보는 안다르의 역할 젝시믹스의 성공 비결을 파악함에 있어 안다르라는 존재를 빼놓을 수는 없습니다. 젝시믹스에 앞서 안다르는 2015년 레깅스 사업을 시작합니다. 젝시믹스는 2년 후인 2017년 레깅스를 시작하였습니다. 2년 앞선 기간만큼 안다르의 레깅스는 젝시믹스보다 더 주목을 받았고 더 많이 팔렸습니다. 최소한 2020년 이전까지는 말입니다. 이 기간 동안 안다르가 만들어놓은 레깅스 붐은 젝시믹스가 빠른 시간 내에 성장할 수 있는 .. 2021. 8. 19. 안다르, 젝시믹스 중심으로 본 2021년 상반기 레깅스 시장 매출, 이슈 2021년 1분기부터 시작된 에코마케팅의 안다르 경영은 6월까지 벌써 552억 원의 매출의 올린 성과와 80명의 퇴사를 불러왔습니다. 젝시믹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블랙라벨 레깅스 판매 비중이 높아져 가성비를 넘어 가심비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레드오션화 시작된 레깅스 시장과 2021년 상반기 실적 국내 레깅스 시장은 세계 3대 시장으로 커진 만큼이나 많은 기업들이 뛰어들어 레드오션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레드오션화의 징후는 국내 3대 레깅스 기업들의 2020년 실적에도 나타납니다. 1093억 매출에 108억 영업이익을 낸 젝시믹스를 제외한 안다르 뮬라웨어는 2020년은 매출 향상에도 불구 영업적자를 나타냈습니다. 안다르는 769억 원 매출에 89억 영업적자를, 뮬라웨어는 454억 매출에 144억 영업.. 2021. 8. 18. 갤럭시 S21과 아이폰 12 스마트폰 승패를 가른 브랜드 차이 아이폰 12위 판매량과 갤럭시 S21의 판매량에 큰 차이가 난 것은 제품이 더 좋아서나 광고를 잘해서 보다는 스마트폰 마케팅 전략에서 애플이 삼성전자를 압도했음을 의미합니다. 전술적 요소가 아닌 전략적 승리라는 점에서 이번 결과는 장기간 영향이 줄 것입니다. 아이폰과 갤럭시 S의 브랜드의 차이 아이폰 시리즈와 갤럭시 S 시리즈는 시간이 지날수록 비슷한 모델 구성과 성능을 보였습니다. 서로가 서로의 장점을 벤치마킹하면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비슷할 수 없는 본질적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iOS와 안드로이드라는 차이 외에도 마케팅 전략의 차이는 물리적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기능보다 간격이 더 큰 차이입니다. 마케팅 전략의 차이는 갤럭시 브랜드와 아이폰 브랜드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 중에 목표 시장과.. 2021. 8. 17. 갤럭시 S21의 브랜드 확장의 이유와 나타난 위험 2020년 갤럭시 S20의 실패와 애플 아이폰의 시장 확장을 벤치마킹하여 출시된 갤럭시 S21은 역대급 최저 판매량으로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에 위기를 가져옵니다. 삼성전자가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와 어떤 위험을 초래했는지 알아봅니다. 삼성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에서 갤럭시 S 위치 삼성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 라인은 대표 스마트폰인 갤럭시 S 브랜드와 화면이 큰 패블릿 브랜드인 갤럭시 노트 브랜드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갤럭시 S라면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이 영역을 공략하기 위한 제품이 갤럭시 노트입니다. 일반 스마트폰과 차이를 두기 위해 갤럭시 노트는 더 큰 화면에 S펜을 추가합니다. 아이폰의 등장 이후 이전 PDA부터 사용되면 펜의 이용은 점차 사라져 갔습니다. 스마트폰.. 2021. 8. 17. 스마트폰 매출 점유율 42%와 17.5%의 애플 아이폰과 삼성전자 갤럭시 S의 브랜드 가치 2021년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매출액 점유율을 보면 애플이 42%이고 삼성전자는 17.5%로 나옵니다. 분명 스마트폰 판매량은 삼성전자가 더 많음에도 왜 매출액은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일까요? 그 이유와 이런 일이 발생한 원인데 대해 생각해 봅니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인기 스마트폰 모델 아이폰 11, 아이폰 SE 2020, 아이폰 XR, 아이폰 11 Pro MAX, 아이폰 11 Pro, 갤럭시 A51은 2020년 상반기 많이 팔린 스마트폰 모델 top 10 중 애플과 삼성전자 스마트폰 모델들입니다. 자료에서 알 수 있듯 애플 스마트폰 모델은 주로 고가의 프리미엄 모델들이고 삼성전자 스마트폰 모델은 중저가 모델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재밌는 사실은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 2021. 8. 15. 이전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 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