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데이터 전용 통신망이 깔리기 시작하면서부터 모바일 서비스와 인연을 맺었습니다. 그 이후로 사업 기획, 마케팅 기획, 서비스 기획 등 다양한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나서, 창업을 하고 스스로 온라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작업도 했습니다. 이후 서비스 실패로 외주 기획 업무를 하면서 체계화한 내용 중 서비스 기획 관련 부분을 정리해 봅니다.
서비스 기획 관련 사전 내용
이 블로그에는 이미 상당한 양의 서비스 기획 관련 내용을 적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간단히 서비스 기획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정리한 글도 있습니다.
기획 분야가 상대적으로 허위 경력이 많은 분야입니다. 다른 사람이 만든 기획서를 수집하여 자신이 만든 것으로 한다든지, 부하 직원의 기획서를 자신이 한 것으로 하는 등의 일은 빈번합니다.
심지어 프로젝트에 투입된 기획자가 프로젝트 기획 폴더 문서들을 다운로드하여 자신이 기획을 리딩 한 것처럼 이후 프로젝트에 제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 경력 체크를 해당 프로젝트 참여를 했는지와 기획서 제출로 갈음하기 때문입니다. 기획서만 잘 챙겨 와도 아무 문제 없이 설계자가 되기도 하고 PL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 중요한 포지션인 경우 이런 경우를 대비해 코딩 테스트처럼 기획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코딩 테스트와 비슷하게 진행하였다고 하는 프로젝트 내용의 변수를 조금 다르게 조정하거나 다른 변수를 넣어 기획을 해 보게 하는 것입니다. 일종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인바스켓 테스트라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여 올려놓은 서비스 기획 관련 작업 프로세스도 일반적인 기획 시뮬레이션에 기반하여 정리된 것이라 각 프로젝트 세부 사항에 꼭 맞아떨어지지는 않아도 서비스 기획 체계를 잡고, 응용하여 활용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 봅니다.
더 자세한 앱/웹 서비스 기획 내용에 대해서는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앱과 웹 기획의 중심 서비스 기획 요약
하나의 앱 또는 웹이 서비스되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에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 앱/웹 개발 기획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어느 부분이 더 중요하다 할 수 없는 기획 과정들이지만, 이 블로그에서
applefish03.tistory.com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란
온라인 서비스의 기획은 앱이나 웹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형성/유지/강화해 나가는 것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앱과 웹은 온라인상 기업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기능과 UI를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핵심은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입니다. 이를 위해 앱과 웹이 필요한 것이며,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이 형성되고 유지되지 못한다면 앱과 웹 개발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매출이 없는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은 최근의 온라인 서비스 환경 상 상대적 경쟁 우위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태도와 행동을 조형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서비스 기획 설계의 내용은 AI 학습과 연결되기도 합니다. 최근의 초거대 생성형 AI의 등장은 서비스 기획자에게 엄청난 무기를 쥐어 준 것과 같은 것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과정과 요소
왜 앱/웹 서비스 기획을 하는가를 생각해 보면 기획 과정과 요소는 분명해지기는 합니다. 이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만약 앱이나 웹을 개발하기 위해서라면 서비스 기획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협의해 개발해도 앱 아니 웹은 개발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어떤 앱/웹을 개발해야 할 것이고, 왜 그렇게 개발해야 하는지가 붙는다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분명 같은 동영상 플랫폼이라 유튜브와 틱톡, 아프리카 TV는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앱/웹 기획과는 다른 기획 프로세스와 요소를 지닙니다.
위에서 이야기했듯이 온라인 서비스 기획을 하는 핵심 이유는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형성하기 위해서이고, 이는 경쟁에 기반합니다.
그래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핵심 사용자를 명확히 규정해야 설계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를 서비스 가설이라 합니다.
- 온라인 서비스 가설 수립
서비스 가설인 이유는 기획 시점이 아직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기 전이기 때문입니다.
이후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형성될 사용자 경험이 이루어질 앱/웹 관련 정의를 진행합니다. 이는 흔히 서비스 정책, 서비스 기능, 서비스 구조를 의미합니다.
- 서비스 정책, 서비스 기능, 서비스 구조 설계
이 세 요소는 서비스 가설을 충족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획의 각 요소들은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닌 연결된 것입니다. 서비스 가설은 앞으로 앱/웹 개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영향은 수립된 정책, 기능, 구조를 통해서 작용합니다.
이후 좀 더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와 디자인 아이덴티티 정의가 진행됩니다. 이는 PI 또는 UX 컨설팅에 의해서도 구체화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온라인 서비스 기획, PI 컨설팅, UX 컨설팅에서 정의하는 프로세스와 디자인 아이덴티티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대상인 앱/웹 프로세스와 디자인이 다른 것이 아닌 프로세스와 디자인을 바라보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마치 같은 거대한 물체를 동쪽에서 볼 때와 서쪽에서 볼 때 다른 것과 같습니다.
이 또한 사용자 경험의 요소이기는 합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프로세스와 디자인 ID를 포괄합니다. 기획 선후 과정으로 보면 온라인 서비스 기획 이후 PI 컨설팅과 UX 컨설팅을 진행하는 게 효율적이고 같은 일을 두 번 하지 않는 작업 흐름이 됩니다.
이후 몇 개의 글에서는 이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한 설명을 추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서비스 가설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 (0) | 2024.02.07 |
---|---|
서비스 환경과 온라인 서비스 기획 (1) | 2024.02.05 |
비즈니스 모델에서 서비스 기획, 앱 기획으로 이어지는 연결 과정 (0) | 2024.02.04 |
드라마 스토리와 앱과 웹 스토리보드 공통점 (0) | 2024.02.03 |
앱, 웹 기획 시 왜 IA를 작성하는 것일까? (0) | 2024.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