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특정 분야 앱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려고 한다면 비용과 수익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먼저 기획합니다. 그리고 이 비즈니스 모델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앱 서비스 기획을 하게 됩니다. 이 기획된 앱 서비스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기 위한 설계가 앱 기획이 됩니다.
앱 기획 구분
앱 기획은 앱 비즈니스에 대한 부분과 서비스에 대한 부분, 개발을 위한 부분으로 구분하여 이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모든 글에서 이를 구분합니다.
먼저 앱 비즈니스에 대한 기획은 비즈니스 모델 또는 사업 기획이라 할 것입니다. 향후 제공되는 앱 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려는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UX)에 대한 설계는 앱 서비스 기획으로 구분할 것입니다. 그리고 특정 앱 개발을 위한 기획을 앱 기획으로 구분할 것입니다.
여기서 세부적으로는 특정 앱 개발을 위한 기획도 어떤 자원과 정보, 권한/책임하 진행되느냐에 따라 기획의 내용과 목표는 달라집니다. 대표적으로 앱 기능 및 시스템 기획과 앱 화면 기획은 프런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만큼 다른 기획입니다.
이러한 앱 기획 관련 정의는 정확히 용어를 구분할 때도 있지만, 글의 맥락을 통해 구분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밝혀 둡니다.
앱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
앱 기획에서 앱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는 매우 분명합니다. 기업의 투자와 수익에 대한 설계 모델인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과 화면을 가진 앱을 개발할지, 어떻게 개발할지 등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결정은 기업이 확보한 자원 및 네트워크, 확보 가능한 외부 자원 등을 통해 발생하는 비용과 서비스 구현 가능성에 대한 계획과 관리를 포함합니다.
앱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외주 개발이 진행될 수도 있고, 개발자를 채용하여 개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운영 방식에 대한 고려 또한 앱 비즈니스 모델링에 기반하여 진행됩니다.
이렇게 어떻게 앱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올릴 것인지, 이를 위하여 어떻게 개발을 하고 운영할지를 앱 비즈니스 모델링을 통해 설계한다고 해서 구체적인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위한 앱의 개발과 운영 내용을 세부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이유로 앱 서비스 기획이 필요합니다.
앱 서비스 기획의 의미
앱 서비스 기획은 비즈니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에 대한 것입니다. 또한 앱을 통해 형성하려고 의도하는 앱 사용자 경험의 형태에 대한 알고리즘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앱 비즈니스 모델과 앱 서비스 기획, 앱 기획은 서로 연결되고, 상호 시너지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연쇄적 작업이 기획의 기본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고 각 기획들이 서로 독립적이고 배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그 앱 사업은 실패하게 될 것입니다.
앱 서비스 기획은 사용자 경험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므로 UX 설계를 포함합니다. 때로는 UX 기획과 앱 서비스 기획을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UX가 사용자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앱은 이 목적한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형성할 수 있게 개발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기업은 앱 개발을 위해 막대한 비용만 들이고 수익은 올리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서비스 기획자는 다양한 기획 기법을 활용합니다. 경쟁 분석 및 가치 사슬, 프로세스 설계 등 전통적인 앱 서비스 기획 방법 외에도 페르소나 기법 등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활용하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앱 서비스 기획의 사용자 경험은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된다는 점입니다. 그러기에 앱 서비스 기획은 앱 기획에 비해 동적이며 시스템적입니다.
이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을 형성할 앱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획이 앱 기획이고, 기능과 UI 등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라 볼 수 있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환경과 온라인 서비스 기획 (1) | 2024.02.05 |
---|---|
다시 정리해 보는 온라인 서비스 기획 (0) | 2024.02.04 |
드라마 스토리와 앱과 웹 스토리보드 공통점 (0) | 2024.02.03 |
앱, 웹 기획 시 왜 IA를 작성하는 것일까? (0) | 2024.01.29 |
화면정의서는 어떤 문서이고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0) | 2024.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