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새벽배송, 호텔, 마트, 식품, 공유경제 청결과 신선함 마케팅으로 소비자 구매를 유혹하다

by 애플_피시 2021. 6. 28.

이전에도 그렇지만 최근 청결에 대한 관심이 더 높습니다. 저 같아도 더 많이 손을 씻고 있습니다. 구매에 있어서도 청결과 신선은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특히 식품이나 공유경제 제품의 경우는 더 중요한 구매 기준이 됩니다. 마케팅 또한 청결, 신선은 중요한 소재입니다.

 

 

청결, 신선함을 상상하게 하는 기업 마케팅

 

과거에 비해 요즘은 청결과 신선함에 대하여 더 신경 쓰는 것 같습니다. 무농약, 친환경 식품, 유통기한 관리 등 식품에 있어 신선함이나 공유 경제 성장으로 숙소도 함께 사용하고 자동차도 함께 사용함에 따라 청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더 진 것은 사실입니다. 

 

정보가 아무리 많다고 해도 구매하려는 제품이나 숙소, 차량을 얼마나 청결하게 관리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국가와 기업은 여러 가지 인증 제도를 만들고 이를 획득하여 마케팅에 활용합니다. 문제는 그 이상의 정보는 얻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요즘처럼 공유경제가 커진 경유 가령 공유 자동차를 코로나 감영자가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일일이 인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소비자는 한번 이용한 공유 자동차를 기업이 얼마나 청결하게 관리하는지를 알기 어렵습니다. 이에 대한 문제가 불거진 적도 있습니다.  

코로나 시기가 이전에도 호텔에 비치된 컵 같은 물건을 세정하는데 변기 물을 사용했다 해서 이슈가 된 적이 있습니다. 호텔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다는 것을 소비자는 알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업은 자신의 제품이 청결하고 신선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상징을 통해 소비자의 걱정과 두려움을 감소시키려 합니다. 실제로는 신선, 청결과 아무 관련 없는 상징일 수도 있지만 소비자는 이를 보면서 심리적 안심을 하게 됩니다.

 

 

뚜껑의 종이 스티커 띠와 변기 커버 종이 띠

 

마트에서 유리병에 든 식품을 살 때 유통 기한이 똑같은 제품이라도 종이 스티커 띠가 훼손되어 있으면 구매하지 않고 종이 띠가 깔끔하면 구매를 하게 됩니다. 유통기한은 많이 남았었어도 종이 스티커 띠가 훼손되어 있으면 여러 사람들이 만진 것 같아 왠지 위생상 문제가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호텔에서도 변기 커버에 깨끗한 종이 띠가 되어 있고 컵에는 종이 뚜껑이 덮여 있다면 청소를 깨끗이 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무리 화장실 청소나 컵을 깨끗이 했어도 만약 종이 띠와 커버가 없는 객실에 들어선다면 소비자는 불안할 것입니다.

 

이런 소비자의 심리는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입니다. 기업의 행동, 제품의 상태를 소비자는 다 알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국가가 만든 인증까지는 아니더라도 무언가 확신을 가질 수 있는 표시가 필요한 것입니다. 바로 종이 띠가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사실 이 종이 띠는 아무런 청결과 신선함에 대한 공식적 권위를 가지고 있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는 종이 띠의 존재 자체로 심리적 안심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청결과 신선함의 상징을 활용한 마케팅

 

의외로 우리 생활 곳곳에서 기업들은 이런 마케팅으로 소비자의 구매를 유혹합니다. 마트의 선명한 색깔의 과일과 하얗게 피어오르는 냉장 연기 그리고 조명에 이르기까지 신선함을 강조하는 장치는 많이 있습니다. 때로는 칠판에 적어놓은 신선 식품 정보는 이 식품이 지금 바로 산지에서 온 것이라는 느낌을 줍니다. 새로운 신선 식품이 들어오면 바로 내용을 바꾸어야 하기에 칠판을 높아 둔 것이라 생각됩니다.

 

새벽 배송 또한 신선함을 마케팅하는 장치입니다. 바로 장을 보아 요리하듯이 신선한 요리 재료를 빠르게 소비자에게 배송하여 준다고 커뮤니케이션합니다. 소비자는 자신이 새벽에 마트에 가서 구매 후 아침 요리하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사실 새벽에 식품이 배송 왔다는 것 이상 소비자는 알지 못하지만 말입니다.

 

또한 병 뚜껑을 딸 때 뻥 소리가 나면 신선한 상태라 생각 듭니다. 만약 뻥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식품에 문제는 있지 않을까 고민될 것입니다. 호텔이나 공유 숙소에 들어갔을 때 종이 띠나 침대, 수건 등의 높이 모습 등과 비슷한 장치입니다.  

 

기업은 이런 마케팅 방법 통해 소비자에게 신선함과 청결함을 전달합니다. 이 상징을 통해 소비자는 청결과 신선함에 대한 심리적 안정을 얻고 신선함과 청결을 향한 기업의 노력과 열정을 유추하게 됩니다. 이런 기업의 제품이라면 구매해도 문제없을 것이라 생각하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