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은 전략의 하위 개념으로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전략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합니다. 전략은 각 전술의 합으로 이루어지지만, 전술적 성과 이상의 결과를 가져옵니다. 마케팅과 앱에서 개별 기능의 성과는 전술적 관점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전술과 전략
흔히 4P라 부르는 마케팅의 기능적 부분들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전술적 마케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4P를 통합적으로 계획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수단과 방법은 전략적 마케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전술과 전략은 또 기간 관점에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전술적 마케팅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의 성과를 목표로 합니다. 그리고 전략적 마케팅은 상대적으로 긴 기간에 결처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의 각 기능의 수행 또한 기간과 4P 기능에서 다시 세부화되는 기능들의 조합에 의해 전략적 마케팅, 전술적 마케팅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면 4P 중 프로모션(Promotion) 광고와 홍보, SP, 영업 등을 통합하여 기획한다면 프로모션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광고에서도 온라인 광고와 TV 광고, 모바일 광고 등을 통합하여 장기간에 걸쳐 브랜딩을 계획한다면 광고 전략이라 부를 수 있으며, 단기간 가입자나 매출 향상의 목적 달성을 위해 광고를 기획한다면 광고 전술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마케팅 전략과 전술은 상대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커다란 마케팅 전략을 구성하는 전술 요소들은 다시 하위 요소들의 관점에서 전략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앱 전략과 전술
앱의 목적을 무엇에 두느냐에 따라 전략과 전술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앱 목적이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 발생 관점에서 본다면 앱 개발과 운영, 마케팅 프로모션 등은 개별적으로 기능적인 전술이 되며, 이러한 기능들이 합쳐져서 이루어지는 수단과 방법의 구성은 전략적 요소가 됩니다.
그러나 앱 개발이 목적으로 할 경우 개발, 디자인, 기획은 앱 개발을 위한 기능적 요소가 되면 이를 결합하여 달성되는 목적한 앱의 개발은 전략적 목적이 됩니다. 다시 개발 관점에서 백 앤드, 프런트 앤드, DB, iOS, 안드로이드, 퍼블리싱 등의 작업은 개발을 구성하는 전술적 요소로 파악될 수 있습니다. 이 차원에서 R&R과 WBS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술적 과정의 파악과 진행 관리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전략과 전술의 이해
이렇게 전체와 부분 집합 그리고 다시 부분을 구성하는 하위 부분 집합으로 구분하여 최종 목적을 전략이라는 개념으로 두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하위 목적으로 전술로 구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설정하는 사람이 어느 기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수익과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략적 관점에서 보면 전술적 성과는 전략의 과정의 완성도에 기여할 때 성취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전술적 관점에서 성공이 전략적 관점의 실패가 되기도 하며, 전술적 관점의 실패가 전략적으로 성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앱 개발 도중 중단되었다면 개발 관점에서는 실패입니다. 그러나 사업 기획과 서비스 기획 관점에서 수익성 있는 앱이 되기 힘든 앱을 개발하는 것이라 판단된다면 앱 개발을 중단한 것은 전략적으로 성공일 수 있습니다. 개발 중단으로 세이브한 비용을 토대로 수익성 있는 새로운 앱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수익이 안 나오는 앱을 끝까지 개발했다면 그 비용은 버린 것이 됩니다.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물 안에만 사는 개구리의 전략적 선택은 우물 안에서의 목적에 한정됩니다. 그러나 하천에 사는 개구리, 강에 사는 개구리의 전략은 우물의 공간의 유효한 전략과 다를 것입니다. 결국 전략은 생각하는 사람의 사고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됩니다.
'기획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 GPT는 마케터와 기획자를 대체하게 될까? (0) | 2023.04.21 |
---|---|
쥐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혁신적인 쥐덫 개발에 대한 고민과 선택 사례 (0) | 2023.04.19 |
단기 성과 지향 마케팅의 위험성 (0) | 2023.04.05 |
사용자, 소비자 필요에 대한 두 가지 관점 (0) | 2023.03.29 |
니즈(needs)와 원츠(wants)사이 서비스 사용자의 선택 지점 (0)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