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IT 시스템과 온라인 서비스 차이에 대해 이야기 해 보자

by 애플_피시 2023. 7. 12.

가끔 IT 분야에 있다 보면 시스템과 서비스를 구분하는 사람들도 보게 됩니다. 그럼 이 둘은 정말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저는 개발자는 아니고 기획자이므로 이 차이를 기획 관점에서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기획자이므로 IT 시스템과 온라인 서비스의 정의와 개념에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스템과 서비스

 

필요한 어떤 기능을 IT 기술을 통해 구현한 것을 우리는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특정 체계나 조직, 조직을 시스템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IT 분야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특정 목적 달성을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구성체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온라인 서비스의 경우 우리가 이 블로그에서 많이 이야기 한 만큼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서비스는 일종의 무형의 상품으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발생하고,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구체화되는 상품을 의미합니다. 온라인 서비스는 이런 서비스가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온라인 서비스는 사람과 사람이 만나 제공하는 것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서비스를 경험합니다.

 

이때 하드웨어는 온라인 서비스가 작동되고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프로그램에 접속하는 기기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온라인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지칭합니다.\

 

좁은 의미에서 시스템의 정의를 보면 온라인 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을 시스템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입력은 사용자 니즈 또는 UI를 통한 요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출력은 사용자 요구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피드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온라인 서비스 관점에서 이런 입력과 출력을 처리해 주는 코딩된 프로그램을 기능이라 부릅니다.

 

그러고 넓은 의미에서 보면 스마트폰 앱 서비스의 경우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기기와 프로그램을 통칭한 것이 됩니다.    

 

온라인 서비스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 된 기능으로 이루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비스는 IT 시스템으로 구성된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상품이라 부를 수 있는 것입니다.

 

 

기획자가 보는 시스템과 서비스

 

솔직히 기획자 관점에서 IT 시스템과 온라인 서비스는 다르지 않습니다. 단지 이를 사용하는 대상이 다를 뿐입니다.

 

마치 콜라를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와 식당에 납품할 때 유통 채널이 다를 뿐이지 콜라 자체는 같은 것과 유사합니다. 물론 이때 콜라 표지에는 업소용이라는 표시가 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콜라를 다르게 제조하는 것은 아닙니다.

 

IT 분야에서 시스템과 서비스도 입력과 출력이 있고, 이 작동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결국 이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목적 달성을 위한 로직은 같습니다.

 

물론 콜라 유통에서 처럼,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는 처리해야 하는 대상과 방식, 연동해야 하는 외부 시스템, 데이터 등이 다르므로 완전히 다르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이는 제가 프로그래머가 아니므로 더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러나 기획자 입장에서 단지 사용자와 이용 목적이 다를 뿐 같은 IT 기술로 이루어진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같습니다.

 

이 사용자 차이는 서로 다른 세분 시장 사용자 니즈 이상 복잡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세부적으로 보면 차이가 있겠지만 본질적인 설계에 있어서 시스템이라 부르는 것과 서비스는 다르지 않습니다.

 

기획자 입장에서는 특정 시스템으로 만들어져서 사용자에게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되는 것이 온라인 서비스입니다. 결국 기획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비스는 IT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인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