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온라인 서비스 기획 2단계

by 애플_피시 2023. 7. 16.

기업에서 온라인 서비스 진행이 결정되었다면 서비스가 이루어질 시장 정보를 수집/분석해야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온라인 서비스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왜 그런 앱, 이런 기능을 서비스해야 하는지의 논리의 근거는 데이터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시장 환경

 

온라인 서비스를 진행할 스마트폰 앱 또는 웹 사이트는 서비스 진행될 시장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시장 정보는 사용자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에 대한 것뿐 아니라 필요로 하는 것, 원하는 것에 대한 것 등 다양합니다.

 

흔히 온라인 서비스에 진행에 대한 핵심적인 질문인, 어떤 문제 해결을 위해 앱/웹을 제공하려 하는가로 시장 환경 정보의 필요성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즉, 온라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시장에 대한 정보는 최적의 가치와 효용을 찾아내어 앱/웹에 적용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최적의 가치와 효용을 위해서는 사용자와 다른 앱/웹들이라는 기업 밖의 데이터뿐 아니라, 시장의 요구에 적절한 앱/웹을 개발하고 운영할 역량을 기업이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데이터도 필요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업 외부 환경 

 

온라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환경은 잠재 사용자의 선호, 가치와 경쟁이 될 만한 다른 서비스의 존재, 앱/웹을 개발하기 위해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나 개발자 등에 대한 모든 것을 말합니다.

 

기업이 온라인 서비스를 진행하는 데 있어 참고할 만한 기업 외적 정보 모두를 의미합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입니다.

 

앱/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나 개발자 또한 해당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가 충분하다면 많아질 것입니다. 해당 시장에서 앱/웹을 서비스하려는 기업들도 많아질 것이고, 그러면 없던 솔루션 제공 기업과 개발자도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비스 외부 환경 분석의 핵심은 사용자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의 가치와 선호, 필요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기존 서비스 중인 앱/웹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기업이 온라인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세우는 전략 그리고 마케팅 등은 기존 서비스 기업들도 진행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전략과 마케팅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영향의 결과가 바로 앱/웹 사용자 순위라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전략적, 마케팅적 영향은 경쟁 앱/웹을 조사하려는 기획자에게도 미치게 됩니다. 외부 환경을 분석하려는 기획자는 무의식적으로 또는 기획자가 조사를 위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나타나는 이 영향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무의식적 온라인 서비스의 영향, 앱/웹을 이용하면서 나타나는 학습 효과는 기획자에게 의도적인 데이터 해석의 편향이 나타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일종의 좋아하는 앱에서 나타나는 데이터는 좋은 쪽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성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업 내부 환경

 

온라인 서비스 진행 결정을 하고 공략할 온라인 시장이 정해졌다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이 기업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 역량은 앱/웹 개발 역량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앱/웹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한 기업이 온라인 서비스를 잘할 수 있다고 한다면 국내 네이버, 쿠팡,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가장 큰 경쟁자는 삼성 SDS, LG CNS 등 SI 기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시장 현장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기업 내부 환경 분석은 단순히 앱/웹 개발 능력이 기업 내 있는지 뿐 아니라, 기획, 운영, 관리, 마케팅 등 종합적인 서비스 역량의 파악을 의미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관련 가치 사슬 예시 이미지
온라인 서비스 관련 가치 사슬 예시

    

온라인 서비스 기업 내부 환경은 온라인 서비스 가치 사슬 전반에 대한 역량에 대한 것이 됩니다.

 

해당 서비스 기획자는 조사를 통해 기업 내부 역량 데이터를 수입/분석한 후 서비스 가치 사슬의 항목에 대입하여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참고로 할 정도일 뿐 실제 기획 과정이 될 수는 없습니다.

 

위 예시된 서비스 가치 사슬에서 보이듯 개발은 서비스 가치 구성의 한 요소일 뿐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앱/웹 개발과 앱/웹 서비스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온라인 서비스에는 더 많은, 복잡한 역량이 필요로 합니다. 

 

이런 이유로 삼성 SDS, LG CNS 등 SI 기업이 구글이나 페이스북, 아마존이 되지 못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