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온라인 서비스 기획에서 앱 또는 웹 개발로 넘어가는 과정의 조건

by 애플_피시 2023. 7. 18.

마케팅 측면에서 본다면 서비스 소비자인 사용자에게 앱/웹이라는 혜택을 제공하고 매출을 올리는 계획의 수립이 온라인 서비스 기획, 이를 실행하기 위해 앱/웹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앱/웹 기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크게 계획과 실행이라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에 비추어 본 온라인 서비스 계획

 

우리가 마케팅을 실행하여 전략적 우위를 달성하려고 할 때 먼저 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는 세부 실행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 세부 실행 계획은 4P와 같이 마케팅의 각 기능적 부분에 대한 계획일 수도 있고, 최종 마케팅 목표 달성까지 지나야 하는 시기별 세부 목표에 대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처음 계획을 세우는 기획 내용은 실제 수행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계획이 달성되는 과정은 개별 마케팅 업무의 수행으로 달성됩니다.

 

그래서 대기업의 경우 마케팅 기획 부서에서 세운 계획을 광고 부서, 유통 부서, 영업 부서, 판촉 부서 등이 나누어서 마케팅 기획과 연결된 각 기능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업무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은 앱과 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에서도 똑같이 나타납니다. 앱/웹 서비스도 하나의 마케팅 관점의 제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앱/웹 서비스를 진행하려는 기업은 이를 통해 매출을 올리려 합니다.

 

이런 온라인상 서비스 제품으로 앱과 웹, 이런 앱과 웹으로 매출을 올리고자 하는 기업의 의지가 있는 이상 이는 우리가 아는 일반 기업에서 하는 마케팅의 한 부류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애플의 아이폰 가치를 높이기 위한 앱 스토어 마케팅 기획과 실행, 아마존이 플랫폼을 성장시키기 위해 세우는 계획과 실행 업무들, 페이스북이 트위터 시장을 잠식하기 위해 개발한 스레드의 서비스 계획과 이 계획 달성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작업들이 모두 온라인 서비스 기획과 그 실행 방법의 한 부류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실행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 온라인에서 서비스 제공을 통해 매출을 올리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라면, 앱/웹 개발은 이 계획을 수행하기 위한 제품 개발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과 같은 일반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도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맞추어 제품 개발을 하게 됩니다. 이 결과 과거 아이폰 3GS 단일 기종이었던 아이폰이 아이폰 14에 와서는 아이폰 14, 아이폰 14 Plus, 아이폰 14 Pro, 아이폰 14 Pro Max까지 다양해진 것입니다.

 

이를 마케팅 기획과 이에 따른 제품 개발 기획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온라인 서비스에 대입하여 보면 이렇게 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결과 이를 수행하기 위해 iOS 앱을 개발할지,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지, 아니면 다 개발할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제품 기획을 합니다.

 

아니면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이 웹 사이트로 서비스하는 것이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이용은 모바일 웹을 따로 개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앱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 배급은 웹앱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아이폰이 기능과 크기가 세분화되었듯, 앱과 웹에 들어가는 기능, 디자인을 결정해야 합니다. 온라인 서비스가 진행될 앱/웹은 아이폰과 같이 기능과 디자인을 세분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때와 컴퓨터에서 이용할 때 서비스 모습은 조금 다를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폰 14와 14 Pro Max와 같이 기능, 성능, 크기 등에서 완전히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정도가 되면 사용자는 다른 앱으로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는 서비스 경험 강화/유지와 서비스 동질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폰의 소유는 유료 구매 후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온라인 서비스의 계정 소유와 이용은 무료 가입 후 가능합니다. 물론 유료 구매 후 이용이라는 조건의 온라인 서비스도 있기는 합니다.

 

이 경우는 유료 구독자에 따라 아이폰 14가 구매 가격에 따라 다르 듯 다른 모습의 서비스가 되도록 개발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트위터의 블루처럼 기본적으로 이용이 무료인 서비스가 차별화 서비스 정책을 취한다면 사용자의 반발에 처하게 됩니다. 아무리 부자인 사용자라도 말입니다.             

 

그러므로 대표적 온라인 서비스 기획 실행인 앱/웹 개발의 기능과 UI 등이 본질적인 서비스 내용과 다르게 더 나은 기능과 UI 등을 추구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앱/웹 개발이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실행인 이상 기획의 목표 범위 안에 존재해야 합니다. 

 

 

기업 사업 목표를 위한 온라인 서비스 기획 및 앱/웹 개발

 

마케팅에서 계획과 관리는 전략 단위와 전술 단위에서 각각 수립되고 실행 관리 됩니다. 계획과 실행 관리는 또한 기업 단위, 사업부 단위, 팀 단위로 구분되어 진행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획(계획)과 실행은 각 상위 단위의 계획에 종속된 실행을 위해 계획되고 수행됩니다. 기업 단위 기획 달성을 위한 실행이 사업부 단위에서 진행됩니다. 이는 기업 전체 기획 관점에서 실행이지만 사업부에서는 다시 기획과 실행으로 구분됩니다. 이 실행이 팀으로 내려가면 디시 기획(계획)과 실행으로 구분됩니다.

 

이렇듯 하나의 기획은 하위 단위 수행을 위한 기획(계획)과 실행을 구분되는 것을 반복되어 맨 하위 수행 업무와 연결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실행 업무는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동질성을 가지게 됩니다. 만약 어느 한 부분이라도 다른 목표성을 가지게 된다면 전체 목표 달성에 문제가 생깁니다.

 

이를 개발 관점에서 에러라 부를 수 있는 것입니다. 어느 한 사업 부분이 다른 목표로 움직이는 것은 사업 측면의 에러가 발생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온라인 서비스를 진행하는 기업 입장에서 앱/웹 개발을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개발된 앱/웹을 홍보하기 위해 광고 비용을 사용하고, 또 가입하는 신규 사용자에게 혜택을 주는 등의 비용을 또 투자하는 이유는 바로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사업(비즈니스)이라는 것은 비용 대비 더 나은 매출을 목표로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기업은 비즈니스(사업) 기획(계획)을 수립합니다.

 

앞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의 시작이 기업의 서비스 니즈이고 이는 사업 기획 결과라 표시한 것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그리고 온라인 서비스 기획 하위에 앱/웹 개발이 위치하는 것 또한 앱/웹 개발이 기업의 사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