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정리한 서비스 기획 내용을 토대로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경험이 이루어질 앱을 개발하게 됩니다. 이때 개발 기획은 계획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앱의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정책, 기능, 구조를 먼저 작성하는데 이는 서비스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개발 요구 사항의 구성
온라인 서비스 기획 시 작성한 정책, 기능, 구조에 대한 내용이 개발 요구 사항의 모체가 됩니다. 그렇다고 서비스 정책, 기능, 구조가 앱의 정책, 기능, 구조와 같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이 둘은 상당한 교집합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온라인 서비스와 앱에 해당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앱에 대한 개발 요구 사항은 온라인 서비스 내용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모두 이커머스 앱이라고 해서 쿠팡과 지마켓, 스마트스토어가 같지 않다는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듯이, 온라인 서비스 의도와 방향성에 따라서 개발되어야 하는 앱은 달라져야 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앱의 서비스 목적 적합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앱은 기획한 온라인 서비스의 목적인 사용자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게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한 서비스 정책, 기능, 구조가 앱의 개발 요구사항이 되는 것입니다.
앱 정책, 기능, 구조가 서비스의 것과 다른 이유
앞서 앱과 서비스의 정책, 기능, 구조는 교집합 부분도 크지만 차집합 부분도 있다고 했습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서비스 기획 시 작성된 정책, 기능, 구조를 그대로 앱에 적용하는 것이 무리가 되는 것입니다.
앱 정책, 기능, 구조가 개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작성된다는 점에서 서비스 기획 시 만들어지는 정책, 기능, 구조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서비스 기획이 구체적인 앱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앱과 관련한 전체 정책, 기능, 구조를 모두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앱 개발과 운영을 하는데 빠져있는 정책, 기능, 구조에 대한 내용을 채울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앱 정책, 기능, 구조가 서비스 기획의 내용을 토대로 하지만 디테일한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입니다.
만약 매우 구체적인 앱과 관련한 정책, 기능, 구조에 대한 정의가 안되어 있다면, 앱 개발자는 개발 도중 이해하기 어려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무시하고 일반적인 사항을 적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순간 앱은 에러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게 됩니다.
목표를 위한 서로 다른 기능의 역할
기획자가 이해해야 하는 것은 서로 다른 기능이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이고, 이 퍼포먼스가 상호 보완적이 될 때 시스템은 최고의 성능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관점에서는 앱 또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기능 중 하나입니다. 앱 만으로 서비스 목표를 달성할 수는 없지만, 앱 없이도 달성할 수 없는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
마치 기업의 생산, 마케팅, 인사, 회계 부서 등이 각 기능을 잘하고 조화로울 때 기업이 잘 운영되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생산 부서가 자체 퍼포먼스만을 극대화하려고 한다면, 마케팅 또는 회계 부서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생산 제품은 많은데 시장 가치가 없다거나, 생산 비용과 보관 비용이 많이 드는 것 등의 일 같은 것입니다. 인사 부서는 생산 부서 인력 채용에만 신경 쓰느라 다른 일을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생산 부분 기준에서 최고의 성과를 낸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성과 및 미래 성장 자산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 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이 부분의 밸런스를 고민해야 합니다. 이 또한 개발 요구 사항에 반영될 것입니다. 그렇다고 실무 전체를 관리하는 요구 사항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서비스 기능 조율 및 관리 또한 서비스 기획자의 중요한 역할이 됩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서비스 기획을 잘하는 비법 (0) | 2023.04.16 |
---|---|
가상의 온라인 대출 비교 서비스 기획 연습 (0) | 2023.04.15 |
온라인 서비스의 뼈대 (0) | 2023.04.13 |
앱 모순과 서비스 아이러니 (0) | 2023.04.11 |
개인화 알고리즘. 정확한 추천과 정확한 추천이라고 인식되는 추천 (0)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