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전 세계에 한국 콘텐츠의 우수성을 알렸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 제작되었던 대작 드라마들이 실패를 하면서 K 콘텐츠 흥행에 불안감을 던졌습니다. 그리고 애플 TV와 디즈니+가 국내 OTT 시장에 들어왔습니다.
K 콘텐츠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오징어 게임의 성공으로 넷플릭스가 막대한 이익을 보자 국내에서 제주는 한국 드라마 산업계가 부리고 돈은 넷플릭스가 챙겨간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정치인들까지 이 논란에 합세하여 논란을 키웠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 제작된 드라마 검은 태양과 지리산은 오징어 게임만큼 인기를 끌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부족한 드라마 완성도 시청자 원성을 사기도 했습니다. 지리산의 경우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으로 전 세계적인 한국 좀비와 한국 모자, 갓의 인기를 만들어낸 김은희 작가의 국내 투자 작품입니다.
그러면 이런 질문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완성도 높은 드라마가 국내 배우와 감독에게 좋을까 아니면 완성도가 떨어지고 국내에서만 인기 좀 있는 드라마가 국내 배우와 감독에게 좋을까 하는 것입니다.
한국 배우와 할리우드 배우의 몸값은 차이가 큽니다. 드라마 제작비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만약 한국 드라마가 국내에서만 인기를 끈다면 국내 배우 몸값을 받을 것이고 전 세계적 인기를 끈다면 할리우드 배우의 몸값에 가깝게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배우에게 어떤 게 이익일까 질문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입니다.
사실 본직적 문제는 한국 감독과 배우가 만든 드라마가 어느 것은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어떤 것은 국내에서 조차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하는 부분입니다.
과연 오징어 게임 하나로 한국 드라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신할 수 있을까요? 과연 한국 K 콘텐츠의 힘은 어디에 있길래 같은 한국 드라마의 호불호가 이렇게 크게 갈리는 것일까요?
K 콘텐츠 산업 실상을 보여준 성공과 실패
물론 비슷한 시기 드라마 몇 편으로 드라마 콘텐츠 산업 전체를 정의 내린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몇 가지 요인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어디서 드라마 제작 투자했는가입니다. 국내 정서 상 돈을 내는 쪽이 왕입니다. 국내 투자 업계에는 이런 말이 돈 적이 있습니다. 지식은 돈으로 살 수 있지만 돈은 지식으로 살 수 없다. 이 말은 K 콘텐츠 제작 환경에도 똑같이 적용되었던 것 같습니다.
제 기억 속에 오징어 게임 감독의 인터뷰 중 투자자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었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드라마를 즐긴 시청자에게 보인 오징어 게임의 성공 이유 중 하나는 무리한 PPL이 없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비슷한 시기 제작된 한국 드라마가 고전하는 이유는 무리한 PPL로 드라마 전개의 맥을 끊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김은희 작가의 최신작 지리산 본 일부 시청자들은 출연 배우의 아웃도어 광고와 드라마 내용을 섞어 벼면 어느 것이 광고이고 어느 것이 드라마 장면인지 헷갈린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습니다.
단지 차이는 드라마 제작에 돈을 대는 투자자가 다른 것입니다.
K 콘텐츠 산업 기회와 위기인 부분
오징어 게임 하나로 K 콘텐츠 산업 전체에 대한 위기와 기회를 논하기에는 좀 억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K 콘텐츠 산업을 구성하는 부분 중 기획인 부분과 위기인 부분은 확실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K 콘텐츠 산업 내 기회인 부분은 배우와 감독을 포함한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는 부분입니다. 앞으로 오징어 게임으로 그 역량이 전 세계에 증명된 K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몸값은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것입니다. 그리고 이전과 같은 투자자의 과도한 간섭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정재 배우나 정호연 배우의 세계적 인기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감독과 세트 미술 등 오징어 게임 제작 전반에 대한 세게 적인 호평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투자와 제작비 관련 K 콘텐츠 산업 내 부분은 과거와 같은 절대적인 힘을 드라마에 발휘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오히려 오징어 게임 성공으로 배우, 감독 등 드라마 제작 인력의 몸값이 올라가서 제작비 부담이 커질 것입니다.
또한 전 세게 투자사들이 K 콘텐츠 인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도 위기의식을 가지게 되었을 것입니다.
다른 위기 부분은 콘텐츠 플랫폼 부분입니다. 플랫폼의 위기는 넷플릭스에 이어 애플 TV와 디즈니+ 등장으로 인해 타격을 받을 것이 분명한 국내 OTT 뿐 아니라 시청률 저하로 지상파 분야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과연 이러한 K 콘텐츠 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의 서로 다른 오징어 게임 손익 요인이 앞으로 K 콘텐츠 산업 전반에 어떻게 작용할지는 아직 판단 내리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국회에서조차 오징어 게임 관련 손익 이야기가 나온 이상 이미 영향은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기획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서비스 데이터 해석과 성질에 대한 짧은 이야기 (0) | 2021.11.15 |
---|---|
마케팅 페르소나가 소비자에게 영향을 주는 원리 (0) | 2021.11.14 |
넷플릭스, 애플 TV, 디즈니+ 까지 국내에서 펼처질 OTT 전쟁 (0) | 2021.11.12 |
헬린이, 골린이, 테린이로 알 수 있는 마케팅 페르소나 (0) | 2021.11.12 |
관종의 일반인화와 플렉스의 대중화를 부른 SNS 미디어 변화 (0) | 2021.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