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앱 서비스 지속 가능성 논의

by 애플_피시 2023. 4. 20.

앱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재무와 사용자라는 두 가지 측면의 논의가 필요합니다. 재무적 측면은 비용과 매출의 균형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측면은 상대적 서비스 가치 우위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이 두 측면은 하나의 앱 서비스가 지속되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서비스 가치

상대적 서비스 가치를 가장 고민하는 세계적 앱으로는 바로 페이스북이 있습니다. 분명 페이스북은 여전히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온라인 서비스 중 하나이며,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는 서비스 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여러 경쟁자도 아닌 몇몇 성공적인 도전자들의 등장에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10년 이후에도 페이스북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여전히 사용자가 가장 많은 앱 중 하나이고, 막대한 매출과 이익을 내고 있으므로 차분히 준비를 하면 되지 않겠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지금 막 시작하는 스타트업에 비하여 페이스북은 사용자 기반이나 재무적 여력 측면에서 더 좋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페이스북의 서비스에 대한 시장 사용자들의 가치 평가가 과거와 같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가 존재합니다. 특히 10년 후 핵심 사용자 그룹이 될 10대와 20대 사용자들이 가지는 페이스북의 가치 평가가 다른 경쟁 서비스에 비해 비교 열위에 있다는 점은 큰 위험 요소입니다.

 

낮게 평가되는 상대적 서비스 가치와 현재 많은 사용자는 10년 후 페이스북의 재무적 안정성이 현재와 같이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예언과 같습니다. 그렇다고 당장 비용적 지출을 줄이면서 수확 전략에 돌입하기도 어렵습니다. 인스타그램이 있기는 하지만 페이스북 없이는 세계 최고의 SNS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단지 회사의 이름을 페이스북에서 메타로 바꾸는 것 밖에는 당장의 효과적 대응 전략이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메타버스 서비스의 진행이 투입되었던 비용에 비해 더딘 것도 미래 문제 요인이 될 것입니다. 아니 더디기보다는 성과거 없었다는 것이 더 맞을 수도 있겠네요. 

 

 

재무 밸런스

재무 밸런스는 비용과 매출을 분기 단위나 년 단위 기준으로 평가하여 측정합니다. 우선 재무 밸런스가 좋은 기업이라는 점은 미래 투자를 위한 안정적 자금을 내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것과 함께, 현재 사용자의 앱 서비스 만족도가 좋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점에서 단기 서비스 전략 관점에서 재무 밸런시는 앱 서비스 지속성에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물론 쿠팡, 컬리, 토스와 같이 당장 재무 밸런스는 좋지 않지만 미래 수익성을 기반으로 투자를 통해 비용과 매출로 틀어진 재무 밸런스를 조정할 수는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비용과 매출이 기준이 되는 재무 밸런스 평가는 투자를 통해 보정될 수 있다고 단순히 정리할 수도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투자가 투자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상대적 서비스 가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비용과 매출 밸런스가 안 종은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은 상대적 서비스 가치에 좌우된다고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지속 가능한 앱 서비스 평가   

사용자가 평가하는 앱 서비스에 대한 가치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다면 이는 가입과 반복 이용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유지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결국 앱 서비스가 사용자의 상대적 서비스 가치 평가를 매출로 연결시키지 못한다면, 투자로나마 연결해야 앱 서비스는 지속될 수 있습니다.

 

앱 서비스 평가에 있어 가입자와 이용 시간 등의 요인은 투자와 매출을 만드는 기본 전제가 됩니다. 아무리 마니아 또는 특정 성향의 사용자만을 위한 앱이라 하여도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범용 서비스에 비해 수익화 또는 투자 유치 기준 가입자, 이용 시간 등의 기준이 낮다는 것일 뿐 앱 비스니스 구조에 따른 기준은 존재합니다.

 

이 기준을 달성했다는 가정 하에 앱 서비스에 대한 지속 가능성 평가는 두 분류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앱 서비스 지속 가능성에 대한 내부 역량 기준으로 사용자와의 서비스 교환 가치의 수준입니다. 교환 가치가 일정 이상 되지 못한다면 수익화를 진행하면 이탈 사용자가 늘어날 것입니다. 그러므로 교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알고리즘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앱 서비스 지속 가능성에 대한 외부 역량 기준으로는 투자 매력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사용자가 평가하는 이용과 교환 관련 서비스 가치와 투자자가 평가하는 투자 가치가 꼭 같다고는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입자와 이용 시간 등을 투자 시 고려함으로 사용자의 평가 가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앞서 앱 서비스 기준을 달성했다는 것을 가정했으므로 투자자가 보는 사용자 기준은 통과한 앱 서비스라는 것이 됩니다. 결국 인지된 투자 가치에 따라 투자금의 규모는 달라질 것이고, 이는 앱 서비스의 지속 가능을 위한 투자금 또는 재무적 손실을 메꾸는 자금이 될 것입니다.

 

사용자의 교환 가치와 투자자의 투자 가치는 시대적 상황이나 유행 외에도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앞으로 몇 가지 가상의 변수를 지정해 놓고 교환 가치와 투자 가치가 어떻게 평가되는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추가로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