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기능 정의서 기반 스토리보드 보완

by 애플_피시 2023. 2. 25.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와 화면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 유형이 있다고 말한 것은 이 두 유형의 스토리보드가 분명한 장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즉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 역시 분명한 장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장점과 한계의 보완을 통해 스토리보드 작성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기능 정의서 기반 스토리보드 장점

스토리보드를 기능 정의서를 기반으로 작성할 경우 화면 설계하는 같은 형식을 취하더라도 화면 정의서 기반 스토리보드에 비해 개발자가 이해하기 더 나은 문서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능 정의라는 말 그대로 개발자가 무엇을 작업해야 할지 더 구체적인 내용이 담기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같은 문서 형식이라도 내용 차이로 개발된 앱이나 웹의 오류 가능성이 더 낮은 안정적 시스템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차이는 개인적으로 경험한 여러 앱/웹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서도 확인된 사항입니다. 실제 개발자가 스토리보드로 개발을 할 수 없다 해서 보완을 위해 투입된 경우나, 개발 완료된 이전 프로젝트 일부 모듈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투입되어 테스트하던 중 잦은 에러로 이전 프로젝트의 스토리보드를 검토해 보고 이전 PM에게 확인해 본 결과 이를 참고해 개발하지 않았다는 피드백을 받은 경우도 있습니다.    

 

기능 정의서 기반 스토리보드의 경우 개발 시 이런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우선 기능 정의와 스토리보드 완선되기 전 작성 시에 이런 문제는 먼저 도출되어 논의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이런 문제가 있다면 스토리보드는 완성될 수 없게 됩니다.

 

이에 반에 화면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의 경우 개발과 상관없이 작업 완료 되기도 합니다. 심지어 개발에 사용될 설루션이나 API, 모듈 확인 없이 다른 기존 앱/웹 기반으로 화면이 구성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화면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라도 여러 프로젝트를 경험한 기획자가 작업한다면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의 내용이 보완될 것입니다.

 

화면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의 약점이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가 보완한다면, 화면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의 강점은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가 보완해야 할 부분이 되기도 합니다.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의 한계

기능 정의서 기반 스토리보드가 개발자가 작업하기 편하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디자인 작업에 불편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개발을 위한 내용과 디자인을 위한 내용이 다르고, 이들의 사고 체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스토리보드에 작성되는 세부 구성과 설명 내용에 차이를 어쩔 수 없이 나타내게 됩니다.

 

이는 한 때 인터넷을 달구던 재밌는 콘텐츠였던 '문과 언어와 이과 언어 차이',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짤들을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블로그에서 자주 언급하였던 사용자 그룹별 차이나는 인지 시스템에 따른 같은 서비스 다른 사용자 경험을 통해서도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면 디자인/UI에 대한 보완은 분명히 필요합니다.

 

우선은 서비스할 앱/웹의 전체 화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기능 기반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경우 종종 중요한 기능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 화면은 간과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특정 메뉴의 전체 화면 구성과 디자인에 대한 추가 고려가 필요합니다. 기능을 중심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다 보면 기능의 작동을 위한 흐름을 설명하다 보면 종종 사용자 화면의 전체 내용이 간략화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고려를 하여 스토리보드를 보완하다 보면 스토리보드 내용이 과하게 양이 많아지는 것은 물론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사용되는 것은 매트릭스 형태의 스토리보드입니다. 이는 기능 중심 기업이 성장하면서 글로벌 기업이 되면 생기는 기능별, 지역별 조직 구조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 관리 방식을 복잡한 앱/웹 기획에 적용한 방식입니다.

 

이 또한 여러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고민했던 기획자라면 자신만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위의 방법은 개인적인 해결 방안입니다..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의 활용

여러 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더해 추가적인 디자인적 요소가 있는 화면의 경우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 만으로 표현되기에 한계가 있기는 합니다.

 

이런 점에서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는 주로 디자인적 필요가 상대적으로 작은 관리자(BO, admin) 부분과 주요 개발 기능의 프로세스를 구체화할 때 사용됩니다.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는 개발 완료 후 유지/보수 작업을 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많은 시스템이 추가 개발 시 이전 개발 내용 파악의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대부분의 스토리보드가 화면 정의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지/보수 기간이 길어질수록 시스템은 무거워지고 오류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이때 주요 기능의 작동에 대해 명확히 설명되어 있는 기능 정의 스토리보드가 있다면 유지/보수, 추가 개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개발 시 꼼꼼한 설계를 작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진행한다면, 이후 유지/보수/ 추가 개발에 투입되는 개발자는 기능 정의 기반 스토리보드가 없더라도 문제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그렇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경험한 유지/보수 기반 수 백억 원 프로젝트 중 일부에 기획으로 투입되었을 때도 이 설계, 기획 문서가 없어서 작업을 코드 분석에서 시작한 적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코드가 너무 복잡하고 하드코딩 된 부분도 많아 투입된 개발자도 파악이 어렵다고 해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업체 담당자에게도 문의해 본 결과 자신도 모른다는 답변만 있었던 적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