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로 작업 분할 구조도입니다. 간단히 WBS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 해야 하는 작업과 각 작업 간의 선후 관계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인력과 진행 일정, R&R 등을 관리합니다. 그런데 서비스 기획에도 WBS가 있을까요?
앱/웹 개발 프로젝트 기획과 WBS
WBS를 통해 프로젝트 전반을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는 WBS는 기획과 연관이 깊은 문서입니다. 그러나 보통 앱/웹 프로젝트에 PM과 PMO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획의 업무과 주로 앱/웹 화면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기능과 화면 구조를 정리하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앱/웹 개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기획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앱/웹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획자가 개발 언어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데이터 구조, 서버 시스템 사양/구조 등을 셜계하지는 않습니다. 화면 구조를 정리하기는 하지만 전체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러다 보니 앱/웹 개발 프로젝트에는 기획 PL, 개발 PL, 디자인 PL이 따로 있기도 합니다. 개발 파트의 경우는 더 세분화되어 각 부분 PL이 있기도 합니다.
이러다 보니 목적한 앱/웹 개발이라는 전체 관점의 기획과 관리는 PM과 PMO가 각 부분 파트 PL의 도움을 받아 진행합니다. 이점에서 WBS 작성은 PM과 PMO의 업무가 됩니다.
서비스 기획과 WBS
WBS가 작성되기 위한 가정은 특정 기간 완료할 수 있는 프로젝트 대상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완료를 위해 필요한 업무가 사전에 정의되어야 하고, 작업의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완료 일정을 확정해 놓고 역순으로 작업을 정리합니다. 결국 WBS가 만들어지기 위한 최소한 조건은 구체적인 완료 대상 업무, 기간, 완료를 위한 작업이 특정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서비스 기획의 목표는 사용자 경험입니다. 사용자 경험 자체가 추상적 개념입니다. 또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을 구체화하기 어렵습니다. 가장 결정적으로 만족스러운 경험 제공의 기간을 정할 수가 없다는 점입니다. 만약 2023년 12월까지 서비스 경험 제공을 계획한가고 정했습니다. 그렇다고 기업이 2014년에는 서비스 경험 제공을 위한 작업을 하지 않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만족스러운 경험을 시대에 따라 다르다는 점도 서비스에서 앱/웹 개발과 같은 WBS를 만들기 어렵게 합니다. 한때 스키니 패션이 유행이었습니다. 최근 상의는 타이트하더라도 하의는 와이드 스타일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행의 변화는 만족스러운 경험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서비스 기획의 목적 대상 자체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앱/웹 개발 프로젝트에는 앱 또는 웹 사이트라는 구체적 대상이 존재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비스 프로젝트에는 대상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경험이기에 WBS 작업이 불가능합니다.
온라인에서 상품 노출과 구매 기능의 쇼핑앱 프로젝트의 WBS를 작성했는데, 갑자기 고객이 앱에서 비디오 커머스와 실시간 채팅, 네이버 페이와 같은 독자 결제 시스템까지 작업해달라 한다면 기존 작업한 WBS로는 일정 관리를 할 수 없게 됩니다.
기획의 차이
일부는 앱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 기획을 참여했으므로 서비스 기획 경험이 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런 생각은 기획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잡혀 있지 않는 상황에서 업무만 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그룹 기획실, 영업 기획팀, 광고 기획팀, 유통 기획팀, 신제품 기획팀, 디자인 기획팀 등이 모두 기획 부서이므로 다 같은 일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기획의 대상이 업무가 다른 경우 기획은 달라집니다. 물론 기획의 본질인 대상의 변화 목표의 성취를 위한 계획은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상과 변화 목표가 다르기에 세부적인 처리 방식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온라인 서비스와 앱/웹 개발이라는 구분에서만 생각해 보겠습니다.
온라인 서비스는 수익성 있는 경험의 지속적인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므로 기간의 정함이 없고 수익성 있는 경험이라는 목표가 추상적이기에 WBS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시스템을 통해 이를 달성합니다. 변화하는 수익성 있는 경험에 맞추어 제공 시스템이 변화하는 것입니다. 이때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앱/웹의 추가 개발이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WBS가 작성됩니다.
앱/웹 개발은 구체적인 대상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 대상(앱과 웹 사이트) 개발의 기간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목표 달성을 위한 작업 구성에 따라 인력을 추가해 시간을 줄일 수도 있고, 작업의 전후 단계 때문에 인력을 추가한다고 시간을 줄일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판단은 WBS 기준을 합니다.
그러므로 WBS는 프로젝트 설계(계획)의 최종 문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니즈 구분 사용자 니즈와 경영진 니즈 (0) | 2023.01.13 |
---|---|
왜 MVP로 시작하는 것이 유리한가 (0) | 2023.01.08 |
온라인 서비스 특성에 따른 사용자 가치 차이 (0) | 2023.01.06 |
사용자의 온라인 서비스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요소 (0) | 2023.01.05 |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서비스 경험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