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이나 웹 개발 시 기획 과정 중 생성 문서 중 기능 정의서와 화면 정의서가 있습니다. 기능 정의서는 앱/웹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에 대한 정리이고, 화면 정의서는 사용자가 이용 시 보게 되는 화면들에 대한 정의 내용을 정리한 문서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화면 정의서는 어떤 문서인가
간단하게 말하자면 화면 정의서는 앱/웹의 화면을 정리한 문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면 정의서에는 앱/웹의 모든 화면이 표시되고, 이 화면에 대한 설명이 정리되게 됩니다..
앱/웹에서 보이게 되는 전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화면 정의서는 IA/메뉴를 시작으로 연결된 하위 화면 그리고 또 연결되는 하위 화면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정리됩니다. 화면 정의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마지막 화면까지 표현되는 모습이 마치 메인 페이지를 뿌리로 한 줄기와 가지로 이어지는 트리(나무) 모습과 비슷합니다.
모든 개별 화면은 연결되는 화면이 존재합니다. 이런 화면과 화면의 연결 관계는 사용자가 앱과 웹의 이용 흐름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기에 화면 정의서가 잘 정리된다면 이에 따라 스토리보드를 그리기만 하면 됩니다. 또한 스토리보드로 이해하기 어려운 흐름은 화면 정의서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게 됩니다.
기능 정의서와 차이
화면 정의서에는 앱/웹의 모든 화면이 표시되고 설명된다면, 기능 정의서에는 일부 화면의 표시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기능 정의서는 앱/웹의 화면이 아닌 주요 기능의 정의와 이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가 설명되는 문서이기 때문입니다. 일부 기능이 없는 화면은 설명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 전체를 기능 정의서에서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화면의 다른 부분을 설명하다 보면 기능의 흐름과 작동 방식 등의 설명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기능 정의서는 앱/웹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개발을 위한 문서이고, 화면 정의서는 사용자가 앱/웹을 사용하면서 보게 되는 전체 화면의 디자인과 개발을 위한 문서가 됩니다.
어떻게 사용되나
화면 정의서는 UI, 디자인 작업 등 화면 개발에 사용될 스토리보드 기획 작업에 사용됩니다. 화면 정의서 없는 스토리보드는 페이지 구성되는 문서의 한계를 보이게 됩니다. 때로는 내용의 흐름이나 설명의 일관성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화면 정의서는 스토리보드 작성의 이런 문제를 줄여줍니다.
물론 어떤 화면은 화면 정의서 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화면의 경우는 와이어프레임 작업을 통해 화면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적으로 중요한 부분은 앱/웹 디자인 가이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화면 정의서는 기능 정의서와 다르게 앱/웹의 모든 화면이 표시되고 설명되기 때문에 화면 디자인과 개발에 유용한 기획 자료가 됩니다. 이 때문에 백엔드 기능 개발에는 한계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점에서 앱/웹 개발을 위한 기획 작업을 화면 중심 기획과 기능 중심으로 기획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한다고 했을 때, 이중 화면 정의서는 화면 중심 기획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시장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가 될 수 없는 이유 3가지 (0) | 2023.02.17 |
---|---|
디자인의 온라인 서비스 경쟁력 강화 영향 정도 (1) | 2023.02.17 |
기능 정의서와 앱/웹 개발을 위한 기획자 (0) | 2023.02.15 |
온라인 서비스 운영 관리 목적과 방향 (0) | 2023.02.15 |
'나문희의 첫사랑'으로 살펴보는 서비스 기획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