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요즘 SI, 외주 개발 프로젝트는 왜 실패율이 높을까? 2탄

by 애플_피시 2024. 6. 26.

이전 이 주제의 글에서는 주로 인력에 대한 부분에 것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2탄에서는 기획/설계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이는 인력과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떤 프로젝트이든 기본에 대한 것이기도 합니다. 즉, 기본에 충실하지 않는 개발이 진행되기에 실패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생각합니다.

 

 

 

기본이 지켜지지 않는 개발 프로젝트 

 

어떤 프로젝트이든 시작의 기본은 프로젝트 내용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실행 설계를 하는 것입니다.

 

만약 고층 건물을 짓는데 설계 없이 바로 건물 외부 그림과 인테리어 설계만 하고 50층, 100층 건물을 올린다고 하면 그 프로젝트가 될까요?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하는데 바로 트랜지스터 납땜한다면 인공지능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을까요?

 

제 경험이지만, 어떤 프로젝트든 기본이 지켜지지 않는 프로젝트는 결국 실패하거나 쓸데없이 일이 많고 너무 어렵게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 경우 기본에서 오는 실패율 증가는 더 커집니다.

 

여러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최근 SI, 외부 개발 프로젝트를 해 보면 프로젝트 비용에 비해 의외로 기본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바로 이 기본을 지키지 않는 것이 실패율을 높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투입 인력의 수와 문서화 된 스펙을 기준으로 인력이 투입되어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것을 자주 보았습니다.

 

기획 분야 일을 하다 보면 관련 분야 회사에 있었다는 경력만으로 기획자라 주장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됩니다. 예를 들면 엔씨소프트, 네이버에서 총무나 인사, 경리, 장비 관리를 15년 했다면 SI, 외주 개발 프로젝트에는 고급 기획자로 투입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보이는 피상적 기획 작업은 할 수 있지만, 본질적 기획 작업은 하지 못합니다. 실제 프로젝트를 해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건설 작업자와 일을 해 본 적 본 적 없는 기획/설계자가 100층 건물 설계를 하는 것을 외주 개발 현장에는 종종 보게 됩니다. 개발자와 일을 해 본 적 없는 기획자, 입으로 디자인을 요구하는 기획자, 백엔드와 프런트엔드 개발자를 구분하지 못하는 기획자가 고급 기획, PL, PM을 하는 프로젝트가 성공하리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 생각합니다.

 

이전 글이 이러한 부분을 인력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면, 이번 2탄에서는 기획의 기본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기획의 기본은 무엇인가?

 

제가 생각하는 기획의 기본은 기획의 대상을 파악하고 이 대상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과정에 대하여 아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SI, 외주 개발에서 실행 과정을 아는 것이 코딩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코딩 또한 담당하는 개발자가 있고, 개발 분야에도 설계 담당자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어떤 기술 역량을 가진 개발자들이 있어야 하고, 이들의 작업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개발 대상에 대한 정확한 계획을 세울 수 있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특히 개발 대상에 대한 정의가 잘못된다면 계획/설계와 관리는 의미가 없습니다. 계획/설계와 관리는 정확한 개발 대상에 대하여 이루어질 때 의미가 있습니다.

 

제가 기획을 할 때는 기본이 지켜지지 않는 기획을 하는 기획자를 고문관이라 하였습니다. 이런 기획자가 일을 하면 간단했던 일도 복잡해지고, 1주일이면 끝나는 일이 1달이 지나도 끝나지 않는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심지어 프로젝트를 끝냈는데 전혀 다른 프로젝트를 한 것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면 프로젝트는 끝난 것이 아니게 됩니다.

 

 

 

기획 기본의 관계 

 

개발 프로젝트에서 기본이 되는 기획 내용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 - 개발 대상의 파악
  • 2단계 - 대상에 대한 개발 계획(설계) 및 관리 방안

 

1단계와 2단계는 반드시 1단계가 먼저 진행되어야 하는 선후 관계에 있습니다. 1단계는 SI, 외주 개발 시 요구 사항 분석/상세화에 해당합니다.

 

2단계 계획에 따라 화면 설계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개발 목표에 적합한 화면이 설계될 수 있습니다. 아니라면 단지 기획자의 개인적 생각, 취향, 선호에 기반한 화면이 설계될 뿐입니다. 아니면 ASIS가 있는 경우 기존 화면과 거의 같은 화면이 설계될 것입니다. 화면 설계를 위한 내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상식에 해당하는 것을 아는 기획자도 줄어들고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보아온 기획자 중에는 단지 문서 만들기 또는 화면 그리기만 하는 기획자가 상당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기획자가 프로젝트를 리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경우 그것이 개발이 아니라도 당연히 실패하게 됩니다. 당연히 SI, 외주 개발 프로젝트도 실패할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