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앞의 '앱과 웹의 기능과 UI, 디자인의 디테일은 어떻게 결정되어야 하는가?' 내용에 대한 좀 더 기업적이고 비즈니스적인 관점의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이는 앱과 웹 자체, 그러니까 개발에 대한 것보다는 기업 입장에서 그 앱과 웹이 개발되어야 하는 근본적이 이유에 대한 것입니다.
앱과 웹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는 말의 의미
앱과 웹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는 말은 상당한 비용과 시간, 인력이 투입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는 기업 입장에서 자본적 비용뿐 아니라 기회비용, 인력 관리 등 다양한 비용 요소의 발생을 의미합니다.
더 심각한 비용은 기업 문화적, 브랜드적, 기업 이미지 같은 비 물질적 비용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앱과 웹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과 시간, 인력에 비례하여 미래 기업 존속의 위험성을 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때에 따라서 지금 개발되고 있는 앱(또는 웹)이 개발 완료 후 성과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개발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좀 더 거시적인 전략과 전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거시적 성과는 결과적으로 점유율과 매출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평가의 과정에서 신규 가입자 증가율과 사용자 만족 지표, 이용 시간 등은 현재 점유율과 매출이 부족하더라도 미래에 대한 기대의 결과 기업에게 수용과 인내를 할 수 있게 할 뿐입니다. 결국 인내의 시간이 지난다면 점유율과 매출이라는 목표 성과 지표로 평가될 것입니다.
앱과 웹을 운영하는 근본적인 이유
기업이 이러한 위험한 투자를 하는 이유는 성장과 이익을 위해서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앱과 웹을 구성하는 기능과 UI, 디자인 등은 미래의 성장과 이익을 위해 개발되어야 하는 기획적인 숙명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독점이 아닌 이상 경쟁 앱/웹은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앱과 웹의 개발은 이러한 경쟁에서 승리하여 시장의 기회를 확실히 잡을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은 앱과 웹에서 자신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능과 UI, 디자인 등을 진행하게 됩니다.
여기서 어떤 앱(또는 웹)이 높은 점유율과 이용률을 달성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 앱(또는 웹)을 운영하는 기업이 자신의 강점을 통해 확실히 시장 기회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러한 앱(또는 웹)의 기능과 UI, 디자인을 따라 하는 것은 상대 기업의 강점의 영역에서 경쟁을 하는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많은 앱/웹들이 유행과 사용자 이용 데이터를 따라 개발에 성공하지만, 결국 사업에는 실패하는 결과를 보게 될 것입니다.
전략적, 경쟁적 관점의 기능, UI, 디자인 등의 개발의 의미
전략적이고 경쟁적 관점에서 앱/웹 기능과 UI,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많은 앱/웹 중에서 선택을 받게 되는 앱/웹을 개발한다는 말입니다.
이는 경쟁 우위가 있는 앱과 웹을 의미하며, 기업이 온라인 시장 기획을 잡고 유지한다는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정리하면 유행을 따르는 앱/웹 개발은 보기 좋은 앱/웹의 개발은 성공할 수 있지만 여러 앱/웹 중에서 경쟁 열위에 놓이므로 수익성은 없게 됩니다.
전략적, 경쟁적 관점의 앱과 웹은 해당 기업의 강점을 강화하는 개발을 하므로 참고(레퍼런스)할 만한 앱과 웹이 부족할 수 있므로 개발 과정은 어려울 수 있지만 여러 앱/웹 중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어 수익성이 높게 됩니다.
결국 전략적 경쟁적 관점의 기능, UI, 디자인 등의 개발은 개발 자체보다는 개발 후 앱/웹의 수익성과 더 관련이 큰 기획 관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획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서비스 점유율보다 더 중요한 것에 대한 이야기 (1) | 2024.07.01 |
---|---|
매력과 강점 그리고 선택. 결혼과 앱 선택의 유사점 (0) | 2024.07.01 |
요즘 SI, 외주 개발 프로젝트는 왜 실패율이 높을까? 2탄 (0) | 2024.06.26 |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BA로 그리고 TA, AA, 코딩으로 이어지는 과정 (0) | 2024.06.26 |
기획자가 보는 전통 제조 시장과 앱, 웹 시장 차이 (0) | 2024.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