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기획자가 보는 전통 제조 시장과 앱, 웹 시장 차이

by 애플_피시 2024. 6. 25.

수익을 위한 사업을 설계해야 하는 시장은 해당 품목(아이템)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초기 시장, 성장 시장, 성숙 시장 등 시장 라이프사이클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또 변화가 빠른 시장, 느린 시장 등 시장 내 트렌드 또는 기술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것은 어떤 시장이냐에 따라 기획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전통 제조 시장의 특징

 

일반적으로 공장을 설립해서 소비자 일상에서 이용하는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시장을 전통 제조 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 제조 시장 제품들에도 IT 기술이 접목되고 있어 그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기도 합니다. 여기에 글로벌 공급망 체인 그러니까 전 세계의 생산비가 저렴한 지역을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하여 생산을 하는 추세로 인해 점점 전통 제조 산업이라 해도 앱/웹과 같은 온라인 기술 시장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통 제조 시장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 시장은 자동차가 점점 전자 제품화 되면서 IT 제품과 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와 자율 주행의 등장으로 자동차는 기존 제조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생산이 적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네트워크화된 자동차는 이제 과거의 내연 자동차의 느낌은 사라지고 온라인 서비스 제품화 되게 가고 있기도 합니다.

 

또 기존 섬유/신발 산업이 AI와 자동 생산 방식, 네트워크 생산/공급망 전략으로 인해 어느 산업 분야보다 인터넷과 AI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장이 되었습니다. 이젠 저렴한 패스트 패션(SPA)조차 AI와 IT 생산 체계, 글로벌 생산/공급망 없이는 경쟁력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통 제조 시장의 본질적 특징은 변화지 않습니다.

  • 공장 및 생산 설비 기반 - 글로벌 생산/공급망 또한 공장과 생산 시설을 전 세계에 걸쳐 네트워크화한 것일 뿐입니다. 대표적 기업으로 나이키와 애플이 있습니다
  • 상대적인 변화가 느림 - 생산 투자 때문에 앱/웹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가 느립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 AI와 온라인, 생산 방식을 모듈화 또는 플랫폼화 하는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느린 산업 특성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도요타 같은 기업이 있습니다.
  • 시장 변수가 확실하고 고정되어 있음 - 제조는 물질적 제품의 생산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공장 기반 및 변화가 느린 특징으로 인해 기획 시 시장 변수를 파악하기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변수가 크게 변화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잘 변하지 않는 명품 브랜드나 아이폰이 꾸준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것도 이런 특성 때문입니다. 

 

 

     

앱, 웹 시장 특징

 

아이폰, 안드로이드폰으로 이용하는 앱 스토어나 PC로 이용하는 웹 사이트 시장을 앱/웹 시장입니다.

 

이 산업의 특징은 공장이 아닌 사무실에서 생산(개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지방의 공장에서 자동차나 스마트폰이 생산되고 본사는 서울 같은 대도시에 있는 제조 시장과 차이가 바로 생산과 사무가 같은 곳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입니다.

 

앱, 웹 시장의 생산(개발)은 사무실에서 컴퓨터만 있으면 가능합니다,. 그러기에 많은 앱/웹 스타트업이 카페나 공유 오피스에서 시제품/MVP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산(개발) 설비 세팅에서 제품 출시, 대량 사용자 확보에 이르기까지 짧게는 수개월, 길게는 1~2년이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제품 주기가 매우 짧은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낮은 시작 비용과 생산(개발) 비용으로 인해 수많은 소기업들이 앱/웹 시장에 뛰어들 수 있었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앱/웹 시장은 변화가 빠르고 시장 변수의 특정 및 파악이 어려운 특성을 나타내게 됩니다. 여기에 이러한 앱/웹 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BtoB 기업들의 수익화 때문이라도 지원 기술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컴퓨터만 있으면 생산(개발) 가능 -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수많은 시작 기업이 등장하였습니다.
  • 상대적으로 변화가 빠름 - 많은 기업과 사용자(소비자)와 상호 작용은 시장의 변화를 촉진하게 됩니다. 2010년 앱/웹과 2024년 앱/웹은 그 규모나 기능, UI, 화면 구조에 이르기까지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시장 변수가 불확실하고 변동함 - 시장 변화와 많은 플레이어는 결국 미지의 변수를 창조하고 기존 변수를 변화시키게 됩니다.   

 

 

 

시장과 기획

 

기획은 시장에 기반합니다. 삼성전자가 자동차 시장에서 수익을 얻기 위한 기획을 하지는 않을 것이고, 나이키가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기획을 하지 않습니다.

 

결국 기획은 그 기업의 사업이 위치한 시장에 기반하여 진행됩니다. 그러므로 시장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더 세밀하게 보면 기획은 해당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과 서비스하는 앱/웹의 특성을 반영하게 됩니다. 

 

기획은 시장과 제품의 결합의 결과를 수익으로 목표하는 계획과 관리인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