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앱/웹 개발 시 요건 분석의 중요성을 정리해 보자

by 애플_피시 2023. 7. 21.

앱/웹을 자체 개발할 때는 요건 분석이라 하고 외주 개발사를 통해 진행할 때는 요구 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요건 분석은 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중심이자 작업의 내용이 됩니다. 결국 잘못된 앱/웹 개발 요건 분석은 개발 실패로 가는 가장 첫 번째 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요건 분석에서 파생되는 것

 

개발 요건 분석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여기서 개발의 핵심 내용들이 파생되기 때문입니다. 주요 파생 내역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WBS
  • R&R
  • 앱/웹에서 제공할 기능
  • 앱/웹 메뉴 및 화면 구조

 

 

WBS와 R&R

 

WBS가 나온다는 것은 개발 작업할 업무와 이 업무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정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 기간 완료해야 하는 앱/웹 개발의 특성상 매우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을 개발해야 하는지 모르는데 앱/웹을 잘 개발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것은 환상에 가깝습니다. 일정을 모르는데 일정을 맞춘다는 것은 거짓입니다.

 

WBS는 앱/웹 개발 프로젝트 관리 시 항상 옆에 두고 확인해야 하는 문서인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PM은 WBS를 작성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작성할 줄 알아야 업무를 이해하고 개발자를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말이 모든 개발 업무를 PM이 다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작성된 WBS에서의 업무 구분은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개발자의 작업을 나누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는 R&R이 됩니다.

 

개발할 앱/웹의 작업 내용과 이 작업들의 진행 관계를 알아야 개발자들이 서로 업무 때문에 충돌하지 않고, 작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미리 정리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작업 진행에 문제가 있을 시 WBS와 R&R을 통해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WBS와 R&R은 합리적이고 정확한 프로젝트 관리를 하게 하는 도구인 것입니다. 

 

PM이 WBS와 R&R을 작업할 모른다거나 활용할 줄 모른다면 시간이 흐를 수로 프로젝트 팀 내 책임 회피와 남 탓이 발생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만약 고객이 빠른 진행을 위해 형식적인 WBS 작성을 요구한다면, 그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아도 맞을 것입니다. 어쩔 수 없이 진행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기능/화면 정의

 

기능/화면 정의는 말 그대로 개발할 앱/웹에 있어야 하는 기능과 사용자에게 보여 줄 화면을 정리한 것을 말합니다. 이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어떤 화면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정리 작업은 스토리보드 작성을 쉽게 만들 뿐 아니라, 작업 속도를 현저히 향상 시킵니다. 이렇게 빠른 작업에도 불구하고 흐름의 누락이나 오류를 현저히 줄여주어 스토리보드의 퀄리티를 향상합니다.

 

개발자나 디자이너의 경우 수백 페이지 스토리보드 문서에서 해당 부분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 페이지 내 많은 내용으로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에 대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안전성과 디자인 일관성이 확보되게 합니다. 

 

 

테스트 시나리오

 

테스트 시나리오는 스토리보드를 기반으로 자성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기능 테스트, 화면 검수 등을 진행할 때 성공/실패, 문제점 등을 적고 이를 재검토하는데 상당히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엑셀과 같은 시트로 작성되는 기능/화면 정의서를 바탕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만들게 된다면 이런 문제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기능 정의서에는 해당 기간 그 앱/웹에 개발되어 있어야 하는 모든 기능에 대한 내용과 성능에 대해 적혀 있습니다. 이에 맞추어 확인만 하면 됩니다.

 

화면 정의서에는 해당 기간 개발될 그 앱/웹에 있어야 하는 모든 화면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화면의 존재 여부와 화면 UI 작동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조적으로 스토리보드를 참고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한다면 개발되어야 할 앱/웹의 기능과 화면을 모두 테스트하여 피드백하는 시나리오를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만약 요건 정의 작업이 부실하게 이루어졌다면 테스트 시나리오까지의 이런 원활한 작업은 불가능해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