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앱과 웹 서비스 구조와 각 기능 프로세스 설계가 기획에 미치는 영향

by 애플_피시 2023. 6. 22.

앱/웹 구조 설계는 IA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서 구조 설계는 개발될 앱/웹에 어떤 기능이 있고, 그 기능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정리된 앱/웹 구조에 따라 각 세부 기능들의 프로세스가 다시 설계됩니다. 이를 통해 기획자는 개발할 앱/웹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요구 사항과 앱/웹 구조 설계

온라인 서비스 구조 설계는 외주 개발의 경우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합니다. 내부 개발의 경우 앱이나 웹의 서비스 기획 사항에 맞추어 작성 되게 됩니다.

 

아래는 이전 프로젝트에서 작업하였던 앱 서비스의 구조와 이 구조의 각 기능의 세부 프로세스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온라인 서비스 구조와 하위 프로세스 예시 이미지
온라인 서비스 구조와 하위 프로세스 예시

 

우선 요구 사항의 내용을 토대로 개발해야 할 앱 또는 웹의 구조를 설계합니다. 이 구조는 화면 구조가 아닌 서비스의 구조를 의미합니다. 사용자에게 어떤 기능을 어떻게 제공할지에 대한 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

 

전체 앱/웹 서비스 구조를 정리했으면, 각 기능 부분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계합니다. 프로세스는 해당 기능이 작동할 때의 흐름과 API에 관한 것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정리해 나가다 보면 전체 온라인 서비스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설계가 됩니다. 이 앱/웹 구조와 프로세스 설계를 가지고 프로그래머가 어떻게 코딩을 할지, 디자이너가 어떻게 디자인을 만들어 갈지에 대한 전반적인 아웃 라인을 잡게 됩니다.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 진행

앱/웹 서비스 구조와 각 기능 파트의 프로세스가 설계되었다면, 이에 대한 기능 정의 문서와 화면 정의 문서를 완성합니다.

 

 여기서 완성한다는 의미는 요구 사항 상세화 작업을 진행하면서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시작은 서비스 구조와 기능 프로세스 설계보다 조금 앞서 진행될 수는 있어도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구조 및 프로세스 설계를 참고해야 합니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앱/웹 서비스 구조 설계, 프로세스 설계는 물론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 없이 요구 사항에서 바로 스토리보드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 매우 간단한 앱/웹 개발이 아니고서는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사람의 머리는 그렇게 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여러 프로젝트를 하면서 생각 드는 것은 최소한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 문서는 만들고  스토리보드로 넘어가는 게 문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봅니다.

 

앱/웹 서비스 구조나 프로세스 설계는 난이도가 있어 제대로 그리기 어려울 것입니다. 만약 역량이 되지 않는다면 구조와 기능 프로세스 설계는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부실한 설계는 개발의 혼선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딩과 디자인과 구조 및 프로세스 설계

앱/웹 개발에 있어 기획자가 서비스 구조와 프로세스를 설계했다는 의미는 기획자가 개발할 앱과 웹의 전반적인 형태와 기능을 머릿속에 그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을 개발해야 할지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시장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앱과 웹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습니다. 각 앱의 기능들은 이용법은 조금씩 다를 수 있고 화면 구조는 유사하지만 사용자의 느낌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차이에 대한 이해와 설계가 머릿속에 있고 없고는 (요구 사항이) 목적한 앱/웹을 정확히 개발할 수 있는가 아닌가에 대한 결과를 만듭니다.

 

또한 개발자(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가 스토리보드를 참고하여 작업을 할 때, 각 작업 관련 세부 문의를 대답해 줄 수 있는지 없는지도 결정합니다.

 

디자인만 보더라도 IA에서 앱/웹 메뉴와 메뉴에 딸리는 세부 화면을 정리하는 데는 화면 정의서로 충분합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용할 화면을 통해 발생시킬 경험의 형태와 방향을 유도하고 강화하는 데는 화면 정의서 같은 정적 설명 문서보다 서비스 구조 설계와 프로세스 설계 같은 동적 설명 문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 차이는 시점 상황 인식과 기간 상황 흐름의 인식 같은 것입니다. 이를 우리는 학습과 유도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개발과 디자인의 질적 수준에 영향을 줍니다.

 

보통 이러한 것을 기획 역량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역량은 일정 기간까지는 경력에 비례하지만, 일정 연차가 넘어가면 학습 능력, 추론, 유기적 사고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다시 기업으로 예를 들면 이 차이는 기획/설계의 애플과 제조의 폭스콘의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