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 유사점, 차이점

by 애플_피시 2023. 11. 19.

보통 앱 개발을 위한 설계를 한다는 것과 앱 서비스를 설계한다는 말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는 합니다. 그러나 엄밀히 이는 다른 개념의 설계를 의미합니다. 앱은 코드와 디자인으로 구성된 대상으로 객체를 의미합니다. 서비스는 경험의 대상으로 무형의 욕구 충족의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

 

앱 설계의 의미를 넓게 사용한다면 앱을 통한 서비스 설계까지 포함할 수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유효한 설계가 되기 위한 대상을 명확히 하여 본다면 앱 설계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설계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앱이라는 구체적 물질적 설계의 대상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이를 구분해 보면 앱을 구동하는 코드와  DB, UI와 화면 디자인 등의 설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냥 이를 코드화 작업에 대한 설계와 디자인 작업의 설계로 구분하여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앱 설계 구분은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객체의 완성을 위한 설계를 묶어서 정의하는 개념이면서, 코드와 디자인이라는 서로 다른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대상에 대한 설계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에 반해 서비스 설계는 비물질적 대상인 경험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서 경험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며, 앱이라는 객체를 통해 제공된다는 점에서 온라인 서비스 또는 앱 서비스 설계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앱은 온라인상에서 서비스 경험이 발생하는 코드와 디자인으로 형성된 가상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흔히 게임 공간, 내비게이션 상 지도 공간 등 메타버스 공간을 생각하면 앱 공간의 개념이 이해하기 쉬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같은 동네에 살고 있더라도 건물들의 모습과 도로, 산과 다리, 공원 등의 배치에 따라 느끼는 공간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앱 공간의 경우도 비슷한 기능을 구현하는 코드들과 UI 등을 가지고 있더라도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여러 서비스 구성 요소들에 따라 사용자는 조금씩 앱 공간을 다르게 느끼게 됩니다.

 

이를 UX 설계라고도 합니다. 그러므로 서비스 설계는 UX 설계와 비슷한 말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단지 앱이나 웹 사이트를 통한 서비스 설계를 통해 형성되는 경험을 UX 설계라 하는 것일 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의 유사점

 

앱 서비스는 앱이라는 코드화된 온라인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일정 부분 앱 설계와 교집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집합적인 요소로 인해 설계에 대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유사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앱과 앱 서비스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앱을 통한 서비스라는 점에서 앱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이 서비스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다못해 콘텐츠 이용 방식이나 구성, 카테고리와 화면 배치 또한 서비스 경험을 형성하는 요소입니다.

 

이런 점에서 앱 서비스 설계에서도 앱의 구성 요소에 대한 고려가 들어갑니다.

 

온라인 쇼핑 앱에서 판매자들이 리뷰 이벤트를 하거나, 포토 리뷰를 먼저 나오게 하는 것 또한 쇼핑 앱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설계입니다.

 

이외에도 어떤 콘텐츠를 노출할 것인가와 노출 순서, 이용 시간 등의 조정도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것은 앱 설계를 통해 구현됩니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가 콘텐츠 노출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와 태도를 조정하는 것 또한 이러한 서비스 설계의 한 부분이면서 앱 설계 영역이기도 합니다. 

 

미국 1020이 유튜브가 아닌 틱톡에 열광하는 것도 콘텐츠 노출 방식과 이용 시간 길이, 노출 빈도 등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들은 앱 서비스 설계의 영역이면서 코드로 구성되는 앱 설계 영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지점에서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의 유사점을 느끼게 됩니다.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의 차이점 

 

분명 유사점이 있음에도 앱 서비스 설계만으로 앱을 개발하면 어렵습니다. 또한 앱 설계를 통해 개발된 앱에 서비스 설계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차별적 서비스 경험 또는 상대적으로 다른 앱에 비해 더 나은 서비스를 경험하지 못하게 됩니다.

 

결국 앱 설계와 서비스 설계는 다른 설계인 것입니다.

 

우리는 서로 다른 두 집합이 교집합 부분이 있다고 같은 집합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서로 집합에 속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이 두 집합은 같은 집합은 아닙니다.

 

서비스 설계와 앱 설계의 교집합의 존재는 두 설계가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서비스 설계를 통해 앱 설계가 완성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식하는 것이 기획적으로 더 합당합니다.

 

서로 다른 설계가 상호 보완성을 지닐 수 있는 것은 바로 교집합의 존재 때문입니다. 그러나 설계의 본질을 다르다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부분은 앞서 여러 번 언급하였습니다.

  

서비스 설계는 앱 등 서비스 도구를 통해 온라인상 제공되는 경험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앱 설계는 물질적 확인 가능한 코드로 이루어지는 대상의 설계를 의미합니다. 디자인도 원화가 아닌 어도비, 피그마 같은 디지털 디자인 툴을 이용한 경우 결국 코드이기는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