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가치가 높은 앱 또는 웹을 이용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가치를 제공하는 앱/웹이라면 2~3개 정도의 앱/웹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가치 기준 3위 안에 드는 앱/웹 서비스만이 지속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수익성은 또 다른 이야기일 것이기는 합니다.
사용자 가치와 사용 경험
앱/웹이 서비스라 불리는 만큼 사용자 가치는 해당 앱/웹 이용에 따른 경험에 기반하게 됩니다. 이를 간단히 UX라 부릅니다. 그리고 경험은 특정 기능이나 제공 내용이 아니라 총체적이게 됩니다.
UX가 총체적인 이유는 기억에 기반하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연구에서 사람의 기억은 특정 내용 그대로 또 구체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의 대상과 관련한 다양한 요소들의 총체적이 추상적인 집합의 성격을 보입니다. 물론 강렬한 사건은 다른 무엇보다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그 사건을 기억하는 사람의 심리와 자아 등에 영향을 받아 왜곡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같은 사건을 함께 경험한 사람들의 기억이 각자 다를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 기억이 앱/웹 서비스 평가에서 사용자의 경험으로 변환되어 표현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사용자는 더 많이 그 앱/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
기억과 UX
앱/웹 서비스와 관련한 기억은 어느 한 요소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멋진 디자인, 편리한 UI가 중심 요소가 될 수도 있지만 처리되는 기능이 만족스러운 피드백을 주지 못한다면 서비스 이용 기억이 좋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동영상 앱 디자인이 너무 세련되고 UI가 너무 편리하지만 볼만한 동영상이 없다면 앱에 대한 기억이 좋을 수 없습니다. 볼만한 동영상도 많이 있을지라도 보는데 자꾸 끊어지고 동영상 해상도가 너무 낮다면 앱 서비스 이용 관련 기억은 나쁘게 될 것입니다.
이 앱에 대한 UX를 사용자에게 물어본다면 당연히 나쁠 것입니다. 볼 동영상이 없는 플랫폼, 동영상을 보는 도중 끊기고 해상도가 너무 낮아 동영상 시청 품질이 낮다면 동영상 플랫폼 이용 목적을 달성할 수 없습니다. 이는 멋진 앱 디자인과 편리한 UI로 해결할 수 없는 UX입니다.
기억이 총체적이라는 말은 또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앱/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로 다른 시간과 로그인에서 동영상을 찾고, 보고, 저장 또는 댓글을 다는 것의 모든 과정이 하나의 프로세스로 기억 속에 저장됩니다. 이 기억의 저장 방식이 인지적 관점에서 총체적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 기억이 인출될 때 사용자 경험, UX로 표출됩니다.
UX 기획
그러므로 UX 기획은 앱/웹 서비스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 부분이 아니라, 전체 기능 부분의 시스템적, 전략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여기서 시스템적이라는 말은 하나의 앱/웹 서비스가 개발될 때 서로 보완적인 기술을 가진 개발자들과 디자이너 기획자가 함께 작업하는 모습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 많은 앱/웹 서비스 기능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관리하는 것이 UX 기획입니다.
간단히 아이폰을 부품과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보이는 퍼포먼스, iOS와 앱스토어가 아이폰 이용에 미치는 영향만 보아도 시스템 결과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 (0) | 2024.02.19 |
---|---|
서비스 기획은 어떤 달성 목표를 지향해야 하는가? (0) | 2024.02.18 |
온라인 서비스 가설과 앱/웹 (0) | 2024.02.10 |
온라인 서비스 가설 수립 방법 (1) | 2024.02.09 |
앱/웹 개발 시 프로세스, 기능정의, 화면정의, 스토리보드 등을 작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 2024.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