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프로젝트에 프리랜서 기획자로 투입되어 보면, 의외로 기획의 기본에 벗어난 기획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이러한 기획 부실은 IT 프로젝트 전반을 위험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제가 하려는 기획 업무가 IT 프로젝트와 개발 기획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IT 개발 프로젝트 기획자
일반적으로 IT 프로젝트의 기획자는 스토리보드/화면 설계 작업을 합니다. 주로 사용자의 시스템, 서비스 이용 시 보게 되는 화면과 UI 작업을 하게 됩니다.
이 내용을 보고 개발자는 개발할 내용을 파악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기획자는 스토리보드/화면 설계는 어떤 기준으로 작업해야 할까요?
시스템이나 서비스마다 정책 및 연동 시스템은 다릅니다. 또한 회사가 목적하는 지향점도 다르고, 주 사용자 층도 다릅니다.
같은 조회 화면이라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계할 수 있고, 또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느끼는 방식은 다를 수 있습니다. 때로는 개발 방식에 따라 쉬운 방식과 어려운 방식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화면 개발 방식에 대해서는 개발자와 협의를 한다고 하지만, 개발을 의뢰한 고객이나 유관 부서만이 자세히 알 수 있는 정책이나 연동 시스템의 경우 해당 IT 프로젝트 개발자와 협의한다고 해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더하여 고객 회사의 지향점, 이에 따른 IT 전략 그리고 비즈니스 로직을 적용하는 일은 IT 프로젝트 개발자와 협의한다고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시스템, 서비스 정책
- 비즈니스 로직
이는 기능의 종류와 유형, UI 규칙, 화면 구성과 내용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그리고 이 기준이 반영되지 않은 스토리보드/화면 설계는 해당 IT 개발 프로젝트의 기획이 아닌 것이 됩니다.
IT 개발 프로젝트 기획 부실의 원인
정리하면 기획 부실은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리보드/화면 설계를 진행하는데에서 우선 발생합니다.
제가 이 글에서 말하려는 기획 부실은 이에 대한 것입니다. 나머지 기획 부실은 대부분 역량 부족의 기획자 투입, 적절한 기획 분야의 기획자를 투입하지 못하는 것, 관리 부실에서 나타납니다. 이는 일반적인 IT 개발 프로젝트 운영 내에서 관리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시스템, 서비스 정책과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부분은 얼렁뚱땅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이미 참고 케이스가 있는 경우 더 그렇습니다. 참고 케이스가 없는 경우라면 아마 스토리보드/화면 설계 자체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 태반입니다.
참고 케이스가 있는 경우는 어떻게든 그럴듯한 스토리보드/화면 설계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이는 시스템/서비스 정책, 비즈니스 로직에 적합한 스토리보드/화면이 아닌 확인 가능한 다른 어떤 시스템/서비스의 스토리보드/화면이기 때문입니다.
IT 개발 프로젝트 기획 부실의 해결 방안
해결 방안은 간단합니다.
- 시스템, 서비스 정책
- 비즈니스 로직
을 반영한 기획을 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게 말이 쉽지 실행해 보면 상당히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실 것입니다.
제가 중간 투입되었던 몇몇 프로젝트에서도 시스템/서비스 정택, 비즈니스 로직 정리를 못해서 프로젝트가 지연되기도 하고, 때로는 개발을 다시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심지어 개발을 의뢰한 고객조차도 이를 확실히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객 인터뷰를 통해 고객이 말하는 모호하고 추상적인 시스템/서비스와 의도하는 비즈니스 정책을 파악하여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모호, 추상적인 서비스 의도와 비즈니스 정책 구체화 후 기능 및 화면 도출
그런데 이러한 작업이 단지 이렇게 하는 것이라 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업의 처한 개발 상황, 서비스 환경, 시스템 이용 욕구, 비즈니스 전략 등이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여러 IT 프로젝트 경험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기획 경험을 활용하여,
- 어떠한 의도와 목적으로 IT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한 것인지 파악합니다.
- 진행하려는 비즈니스를 파악하고 프로세스를 정리합니다.
- 시스템/서비스를 구성하는 기능을 추출하여 구체화합니다.
- 제공하는 복잡하고 많은 데이터에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알고리즘을 설계합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 시스템/서비스 정책
- 기능 목록
- 화면 구조와 목록
을 정리하고, 필요에 따라 어렵고 복잡한 화면은 가이드 설계를 제공합니다.
더하여 필요의 경우 사용자 이용 플로우나 기능의 작동 프로세스를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이러한 자료는 화면의 구성과 내용, UI를 정의하는 기준/기본 자료가 됩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화면 설계해야 부실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것입니다.
기획자가 무엇을 기획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하는 것과 여러 개 중 하나와 유사하게 기획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른 기획이기 때문입니다.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서비스 기획 부티크 그리고 기획 플랫폼 (1) | 2025.04.04 |
---|---|
온라인 서비스 기획 프로세스 및 기능, 화면, 운영 기획 단계에 대한 소개 (0) | 2025.03.24 |
내가 하려는 온라인 서비스 기획 설명 (1) | 2025.03.07 |
나는 어떤 기획을 지향 하는가? (1) | 2025.02.11 |
나는 어떤 기획을 하고 있는가?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사례 (5) | 2024.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