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UI와 UX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by 애플_피시 2023. 3. 2.

사전적으로 정의된 UI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사용자와 앱/웹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 환경,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UX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으로 사용자가 앱 또는 웹을 이용하면서 가지게 되는 느낌, 평가, 생각, 만족 등 총체적 경험을 의미합니다.

 

 

화면 설계, 화면 디자인과 또 다른 개념

UI와 UX는 화면 설계와 화면 디자인과 또 다른 개념입니다. 화면 설계와 화면 디자인의 차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UI, UX와 차이를 간단히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화면 설계는 사용자가 앱/웹 이용 시 보고 사용하게 되는 화면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과 정의를 의미합니다. 이에 반하여 화면 디자인은 화면의 시각적 측면의 구성과 이미지를 더 강조한 개념입니다. 즉 앱/웹을 작동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규정한 UI나 앱/웹을 이용하였을 때의 총체적 경험을 의미하는 UX와는 교집합적인 부분은 있지만 다른 개념의 작업인 것입니다.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는 사용자와 앱/웹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자나 언어를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UI를 통해 앱/웹 프로그램에 원하는 내용을 전달하고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여 다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에 전달해 줍니다. 검색하고, 페이지를 넘기고, 콘텐츠에 대해 좋아요를 하고, 구매를 하는 것 등은 UI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UI는 사용자의 앱/웹 이용의 단말기인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의 화면에 보이는 구성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사용자 외 상호 작용의 대상이 앱/웹이라는 점에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고려하여야 하기는 합니다.

 

그러므로 엄밀히 보면 UI는 사용자가 보는 프로트와 백엔드의 인터페이스 정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언어로 다른 사람과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은 문자의 모양도 있지만, 이 문자 모양(단어)에 의미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각 개별 단어를 연결하는 문법도 있어야 복잡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집니다. 우리가 아무 의미가 없는 문자 비슷한 그림을 보고 문자라 하지 않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그리고 중고등학교를 통해 수만 단어를 외었지만 의사소통이 어려운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또한 같은 인접 국가의 언어인 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우는데 차이가 나는 것도 바로 이 문제, 표현 시 단어를 배치하는 문법의 차이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점에서 앱/웹 이용 시 사용자 화면에 보이게 될 이미지만 정리한 것은 UI가 아닙니다. 단지 의미가 없는 모양일 뿐입니다. UI가 되기 위해서는 각 모양에 의미가 부여되어야 하고, 이 의미의 모양으로 서버와 상호 작용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비로소 UI라 부를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본다면 UI 또한 사용자 경험(UX)을 형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러나 UX를 앱/웹을 이용하면서 받는 총체적 경험이라는 점에서 UI가 UX인 것은 아닙니다. 

 

   

UX(사용자 경험)

앱/웹 온라인 서비 UX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험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경험은 간접 경험과 직접 경험이 있습니다.

 

간접 경험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소설이나 기사를 통해서도, 광고나 드라마를 통해서도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사용자가 직접 경험한 것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 해당 앱이나 웹에 대한 경험이 형성되므로 후기/리뷰 또한 좋은 마케팅 프로모션 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직접 경험은 사용자가 직접 앱/웹을 이용을 하면서 형성됩니다. 그러나 앱과 웹은 온라인 서비스이므로 실제 생활에서 제품을 사용 경험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복합적 작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즉, 제한된 감각하에서 경험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3D 영화와 같이 실제는 아니지만 실제인 듯하게  만드 부족한 감각 정보의 자율적 추가로 나타납니다.

 

간접 경험, 직접 경험의 공통적 특징의 하난는 경험이 형성되는 시점과 기억된 경험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시간이 일정 이상 흐른다면 이 차이는 더 커지게 됩니다. 이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경험이 사용자(사람)의 뇌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하는 인지적 과정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험의 특성이 반영되어 UX는 형성됩니다. 정리하면 UX는 앱/웹의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사용자가 전달받게 되는 다양한 정보를 인지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총체적 연산의 피드백 결과의 표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산 작용을 검은 상자 연산이라고도 합니다. 

 

즉 UX는 앱과 웹을 통한 확실한 input 값은 존재하고, 온라인 사용 경험이라는 확실한 output 결괏값은 있지만 input과 output의 연결 관계를 명확히는 알 수 없는 연산 설계와 같습니다.

 

그러서 확률에 기반하거나, 복잡계에서 특정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에 대해 미분한 매우 작은 시점의 input과 output을 사용하여 UX를 설계합니다. 흔히 이를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개인화라 부르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