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정보구조 IA, 메뉴는 왜 필요한 것일까?

by 애플_피시 2024. 5. 21.

일반적으로 앱과 웹 기획을 할 때 정보구조인 IA를 먼저 설계합니다. 정보구조는 사용자가 앱 또는 웹을 이용하게 될 때 목적한 콘텐츠 또는 기능을 찾는 내비게이션 또는 브라우징을 도와줍니다. 그래서 IA를 메뉴라고도 합니다. 이런 정보구조는 개발 관점의 앱, 웹 시스템 구조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사용자 관점의 앱, 웹 정보 구조

 

이런 이유로 정보구조 IA를 설계할 때는 사용자 인지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 말인 즉, 인지 체계를 통해 IA는 UX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잘 설계된 IA는 앱과 웹 UX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이는 백화점이나 놀이동산의 동선 구조, 상품과 놀이 기구 배치 등에서 오는 매출 증대 및 이용자 경험 극대화와 비슷한 것입니다. 바로 IA가 백화점이나 놀이동산의 상품과 놀이 기구 배치에 이용자 이동 동선에서 오는 피로감과 즐거움, 구매 향상과 구매 의욕 저하 등이 앱과 웹에서 나타나게 하는 것입니다.

 

 

 

관련한 다양한 실험/연구 

 

유사한 콘텐츠를 묶는 것은 사용자가 검색과 브라우징에 들이는 에너지를 감소시킵니다. 그리고 이렇게 남은 에너지로 콘텐츠/기능 이용에 사용자는 이용하게 됩니다.

 

결국 앱/웹 이용 피로도는 감소하고, 앱/웹 이용을 통해 얻는 만족도는 향상되는 결과를 얻게 됩니다.

 

또한 앱/웹의 메뉴를 이동하면서 잠재되어 있었지만 표출되지 못했던 욕구의 해소 방법들을 확인하게 되면서 앱/웹 이용 시간은 비약적으로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이에 따른 만족은 덤입니다.

 

우리는 분명 욕구는 있는데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제품과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 관련 제품이 많은 시대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한 위대한 사업가이자 마케터인 스티브 잡스는 '사용자는 보여주기 전에는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라고 말한 것입니다.

 

반대로 혼란스러운 이용 전개 및 콘텐츠 카테고라이징은 같은 기능과 화면을 가지고 있는 앱과 웹이라도 사용자의 만족도를 낮추게 됩니다. 심지어 이용 시간도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앱과 웹 이용은 정보의 소비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앱과 웹의 이용은 일종의 정보 소비자이자 콘텐츠 이용이 됩니다. 목적에 적합하고 재밌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본의 돈키호테처럼 정리되지 않고 마구 섞여 있는 제품 진열은 보물 찾기와 같은 재미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철저히 계산된 정보 구조 하에 정리되어야 합니다. 정리되어 있지 않아 보이는 상품 전시 또한 해당 돈키호테 상점이 제공하려는 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범위에서 만들어진 IA인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돈키호테를 똑같이 따라한 국내의 삐에로 쑈핑은 실패한 것입니다.

 

상점의 이용자의 욕구에 맞게 잘 설계된 정보 구조는 상점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지만, 상점 이용자의 욕구에 맞지 않게 단순히 어지럽게 배치되고 섞여 있는 상품은 이용자를 피곤하게 하고 필요한 상품을 찾는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하는 요소인 것입니다.

 

앱과 웹의 IA 또한 이러할 수 있습니다.

 

앱과 웹의 사용자 목적에 적합한 정보 구조는 재미와 편리를 제공해 줍니다. 주 사용자 그룹과 다른 그룹의 사용자가 볼 때는 복잡하고 정리되어 있지 않은 메뉴처럼 보이지만, 주 사용자들에게는 너무 잘 정리되어 있는 IA인 것입니다.

 

이는 개발에서의 시스템 구조, 코드와 함수, 데이터 구조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사용자와 개발자는 분명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앱과 웹에 대한 목적 및 욕구 충족, 재미 요소 등이 다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더 살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