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을 하면서 경험하고, 업무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요구사항과 기능 정의, 화면 정의의 개념적 차이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느낀 부분을 정리한 것이므로 다른 의견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 학문적으로 맞다 정리된 것은 아니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요구사항 정리와 고객
본질적으로 요구사항 정리는 고객의 니즈와 기준에 달려 있습니다. 아무리 객관적으로 잘된 요구사항 정리라도 해당 고객 관점에서 자신의 요구사항이 다 적용되어 있지 않다고 느낀다면 요구사항 작업은 끝날 수 없습니다.
문제는 개발 작업 또는 서비스 기획 등 외주 작업을 위한 요구사항 정리와 고객이 원하는 요구사항 정리의 모습이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어떤 고객은 화면을 중심으로 요구사항을 그릴 것이고, 다른 고객은 데이터 처리나 기능을 기반으로 요구사항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고객마다 조금씩 다른 요구사항에 대한 기대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반드시 도출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고객이 요구사항을 인지하는 시점에 그렇지 못하다는데 갈등의 소지가 존재하게 됩니다.
결국 고객은 그리고 있는 모습에 맞지 않는 요구사항 정리 내용을 리젝트 할 것이고, 이는 기획자를 혼란스럽게 할 것입니다. 비록 요구사항 상세화 과정을 통해 나오는 기능 정리, 화면 정리 시 다 정리할 내용이지만 고객은 그때까지 기다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이는 업무나 설명과 이해의 문제가 아닌 감정의 문제로 번지기도 합니다.
요구사항에서 기능 정의, 화면 정의 흐름
요구사항은 고객이 개발을 희망하는 서비스에 대한 명확하고 간결한 조건에 대한 것입니다. 이에 반해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는 이런 서비스 조건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 또는 고객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준수해야 하는 조건, 메뉴와 디자인적 특징을 의미합니다.
요구사항에서 기능 정의, 화면 정의로 갈수록 단순한 조건은 구체화되고, 스토리보드에 이르러는 더욱 구체화됩니다. 그러기에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위한 문서로 요구사항과 함께 기능 정의, 화면 정의 문서가 필요한 것입니다. 때로는 기능 정의, 화면 정의 문서를 만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요구사항 정의에 대한 상세화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구사항은 고객이 개발 희망하는 서비스에 대한 간결하고 명확한 조건을 의미하지, 이를 고객 상황 특성에 맞추어 구체화하는 내용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적절한 요구사항 정리란?
누가보다도 무슨 서비스를 개발할지 알 수 있는 내용이 가장 적절한 요구사항 정리라 생각합니다.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를 통해 고객 서비스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요구사항이 정리된 문서는 단순히 금융, 격투 게임, 지도, 커머스 등 웹/앱 특성과 이를 통해 제공하려는 서비스 가치와 기본적 기능이 포함되어 있을 뿐입니다.
이렇게 작업하는 것은 단순화를 통해 요구사항 정의 항목에 대한 사람에 따른 인식 오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와 낮은 복잡도를 유지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일종의 자동차를 한 사람이 다 만드는 것과 여러 사람이 분업을 통해 만들 때 효율과 실수 가능성과 비슷한 이유입니다.
이렇게 정리된 요구사항 내용에 따라 기능과 화면, 작업과 작업 간 관계를 규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규정된 기능, 화면 작업 내용에 따라 세부적인 개발 내용을 넣어 개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화면과 세부 기능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는 요구사항 정의 내용은 보기에는 양도 많고 풍부해 보이지만 매우 비효율적이고 문제 가능성이 많이 내포된 문서가 되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프로젝트 단계 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고객의 결정은 매우 강력한 영향 요인입니다. 이런 이유로 능력 있는 고객과 능력 있는 외주 대행사가 만날을 때 최선의 개발 결과가 나오지, 고객이나 대행사 어느 하나가 역량이 떨어진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어렵습니다.
매우 뛰어난 운동선수가 팀을 옮긴 후 성과가 확 떨어질 때도 있듯, 아무리 뛰어난 대행사라도 고객에 따라 평균 이하 성과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단계 단계를 위한 결정권은 본질적으로 고객에 있기 때문입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업무의 복잡도 올리는 요소 (0) | 2022.07.08 |
---|---|
기획의 기본 원리.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0) | 2022.07.07 |
기획 관점에서 본 SI 외주 개발 실패율 상승의 이유 (0) | 2022.06.21 |
요즘 SI, 외주 개발 프로젝트는 왜 실패율이 높을까? (0) | 2022.06.20 |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기획 그리고 연관 분야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