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서비스 경험과 서비스 기획 그리고 연관 분야

by 애플_피시 2022. 5. 26.

서비스 기획과 개발 기획의 가장 큰 차이는 서비스 경험에 기반한 기획을 하느냐, 앱 또는 웹의 개발 구현을 위한 기획이을 하느냐에 있습니다. 정리하면 서비스 기획 중심은 웹 또는 앱 개발이 아니라 이를 사용하는 유저의 경험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서비스 경험을 구성하는 것

 

웹과 앱의 기능, 디자인 및 빠른 반응 등도 사용 유저의 경험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보다 더 중요한 서비스 경험의 결정 요인은 사용자의 과거 경험과 기억입니다.

 

사용자 경험이 지금 이용하는 서비스 경험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 해 주는 것으로 개인화 큐레이션, 추천이 있습니다. 아무리 기능과 디자인을 똑같이 하더라도 서비스 경험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은 바로 개인적 취향 및 선호 때문이고 이를 공략한 서비스 전략이 바로 개인화인 것입니다.

 

 

서비스 기획에 빅데이터와 AI가 떠오른 이유

 

이런 점에서 요즘 웹과 앱의 온라인 서비스에 빅데이터와 AI가 주목받는 이유기도 합니다. 빅데이터는 개인의 과거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취향과 선호를 뽑아내기 위한 것이고, AI는 빠르게 개인의 정보를 기반으로 취향과 선호를 뽑아내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기획자도, 아니 개발자나 디자이너도 빅데이터와 AI를 기획하면서 화면을 중요시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화면은 빅데이터와 AI 활용 기획의 결과이지, 기획 그 자체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기획과 빅데이터, AI 그리고 인지 구조

 

이로 인해 서비스 기획에 중요해진 역량 요소가 인지 구조에 대한 이해입니다. 간단히 하면 유저(사람)가 정보에 노출되어 이를 인식하고 처리하여 기억에 저장하여 이후 인출하는 시스템에 대한 이해라 할 수 있습니다.

 

인지 구조(시스템)가 적용되는 다른 분야로 3D, VR, AR, MR 등 시각 콘텐츠 분야나 광고 등 호감과 기억, 욕구를 자극하는 분야, 콘텐츠 큐레이션 등 콘텐츠 배치 및 노출 분야 등에도 유저(사람)의 인지 구조(시스템)에 대한 부분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인지 구조(시스템)의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분야는 모두 사용(시청) 경험과 관련 있다는 점에서 광의의 서비스 기획이 연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