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한 기획 개념

by 애플_피시 2024. 5. 6.

이 블로그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앱, 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기획은 몇 가지 개념을 가지고 정리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기획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관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기획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점유율, 매출 등을 목표로 할 때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 됩니다. 

 

 

 

이 블로그 핵심 주제 - 기획

 

물론 다른 내용도 있겠지만 이 블로그가 다루는 핵심 주제는 기획입니다. 기획 중에서도 앱/웹 서비스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이를 다르게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에서 앱/웹에 좀 더 포커스를 두는 기획은 시스템 또는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획, 서비스에 좀 더 포커스를 두는 기획은 온라인에서 형성하고 유지/관리할 사용자 경험에 대한 기획이 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상이한 온라인 서비스 기획 대상을 알 수 있습니다. 구체적이면서 물질(코드)적인 앱/웹을 대상으로 하는 기획과 추상적이면서 비물질(경험)적인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과 평가를 대상으로 하는 기획입니다.

 

 

 

일반적 기획 개념

 

일반적인 기획 개념은 이 블로그 글을 더 풍부하게 이해기 위해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의 기획은 정해진 특정 업무를 지칭하는 것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기획은 대상을 분명히 하고 이 대상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계획하고 달성하는 과정(프로세스)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기에 분석/설계를 선행하고, 기획에 따라 업무 내용과 방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획은 목표와 달성이라는 것을 위해 현재부터 계획/설계하고 진행하는 것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작업이 필요한 목표일수록 달성을 위한 과정(프로세스)에는 여러 하위 단위 과업이 파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유기적 가치 프로세스(사슬)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기획 용어로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경영 관리 및 전략, 마케팅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기능적 역량을 가진 여러 명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작업 과정의 완성을 서로 연결하면서 정해진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경우.

이 과정을 설계하는 것 또한 기획이 됩니다.

 

그러므로 SI/웹에이전시 프로젝트에서 WBS를 작성하는 것 또한 프로젝트 기획이 됩니다.   

 

이러한 기획 개념의 확장은 기획을 스토리보드 작성과 같이 특정 업무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니라 기획이 가진 업무 성격과 하는 이유를 중심으로 인지할 때 가능해집니다.

 

여기서 개발에 필요한 서버나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나 공통 코드 등의 설계를 하는 것 또한 현재 상황에서 정의된 개발이 의도한 향후 완성해야 할 특정 앱 또는 웹을 계획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기획이 됩니다.

 

그러므로 기획자만이 기획을 한다 등의 생각은 이 블로그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 기획 개념과 맞지 않습니다. 단지 해당 조직에서 배분되고 이름 지어진 특정 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를 지칭하는 용어일 뿐입니다. 

 

기획은 어떤 기능적 작업이 되었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설계를 한다면 해당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개념

 

온라인 서비스로 기획 측면에서 그냥 금융 앱, 쇼핑 웹 사이트 등 앱 또는 웹의 개발은 기획이 아닙니다. 대상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특정 앱 또는 웹의 개발 완료를 위한 기획이 이 블로그에서 다루는 기획이 됩니다. 이 개념으로 보면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인력이 기획자가 아니라, 목적한 앱/웹의 개발을 완성할 수 있게 목적 적합한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수 있어야 기획자가 됩니다. 이는 해당 프로젝트의 기획 부서에 배치된 인력을 기획자라 부르는 것과 구별해야 합니다. 

 

특정 앱 또는 웹이라는 말은 구체적으로 확정(또는 작동 가능한 고유한 성격이 규정된)된 기능 및 UI, 화면 등의 정의와 정책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앱/웹 정책, 기능 정의, 화면/UI 정의 등이 명확히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스토리보드 작업은 기획 작업이 아닌, 해당 프로젝트에서 기획자로 명명된 작업자가 해야 하는 업무를 그냥 하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해당 앱/웹 개발 완료를 위한 기획은 아니게 됩니다.

 

이 말은 다시 목표 달성 지향성을 지니지 못한다는 기획이 아니라는 말이 됩니다. 그리고 이를 해석하면, 단순히 화면 UI, 이미지를 표현한 스토리보드는 해당 프로젝트가 개발 목표한 앱/웹 개발 목표 달성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됩니다. 화면은 잘 표현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개발을 위한 기획 요소가 부실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예와 같이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한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과 관리에 대한 것을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라고 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여부는 다음의 질문을 통해 검증할 수 있습니다.

  • 왜 온라인 서비스를 하려 하는가?
  • 온라인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이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여기서 '왜 온라인 서비스를 하려 하는가?'는 해당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한 전체적인 기획 목표를 파악하는 질문입니다.

 

'온라인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은 전체적인 기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위 목표(프로세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각각의 목표 달성 프로세스 실행/진행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러한 질문 또는 문제의 답을 적기 위한 풀이 과정이 기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바로 온라인에 존재하고, 또 온라인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의 유형/가지 등의 통해 답이 정해지는 기획을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이 온라인 서비스 문제의 답(사용자 경험을 통한 매출)을 찾기 위한 필요로써 앱 또는 웹 개발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과 앱/웹 개발을 위한 기획은 문제와 답이 다른 유형의 기획이 되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