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일반

앱과 웹 서비스를 누구에게 어떻게 할 것인가 결정 방법 (기획 측면의 UI/UX 방법론)

by 애플_피시 2024. 7. 11.

 

UX의 상대성 때문에 앱과 웹 서비스는 누구에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수익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에 따라 UI 및 기능 개발 또한 상당히 달라지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를 기획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려 합니다. 

 

 

 

앱과 웹 서비스 사용자와 방법에 대한 기획

 

모든 제품이 그러하듯 WHO(누구)와 HOW(어떻게)는 굉장히 중요한 의사결정입니다. 이에 따라 많은 것들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제품 디자인, 기능, 재료 소싱, 생산 지역/방식, 유통 방식, 가격, 광고 등 거의 제품과 관련한 모든 가치 사슬 구성 요소들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는 앱과 웹 같은 온라인 서비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를 기획 이론 차원에서 간단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마 다들 아는 내용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누구에게 앱과 웹 서비스를 할 것인가?

 

이는 핵심 사용자 정의에 대한 기획적 판단이면서, 실질적인 UX 방향성, 형성 방법을 결정짓는 판단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획적 상황은 이론적으로 세분화(segmentation) 및 타기팅(targeting)이라 부릅니다.

 

세분화(segmentation)는 서로 구분 가능한 앱/웹 이용 니즈와 욕구를 가진 사용자 그룹으로 전체 시장을 구분하는 기획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결정된 세분 사용자 그룹은 명백히 선호하는 앱과 웹 유형이 다릅니다. 

 

이 말은 결국 서로 다른 UX 경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기에 이렇게 구분되게 세분화(segmentation) 사용자 그룹을 선택하는 타기팅(targeting)은 앞으로 진행된 앱 및 웹 개발의 내용과 방향성을 완전히 다르게 만듭니다. 바로 UX 때문입니다.

 

 

 

어떻게 앱과 웹 서비스를 할 것인가?

 

이렇게 타기팅(targeting)된 사용자 그룹에게 수익성 있는 사용자 경험, 즉 UX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어떻게가 됩니다.

 

그러므로 어떻게 앱과 웹 서비스를 할 것인가는 세분화(segmentation) 후 타기팅(targeting) 사용자 그룹에 대한 앱과 웹 기술적, 운영적 전술적 기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앱 기획, 웹 기획하면 떠오르는 전반적인 과정들은 바로 여기에 속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앱과 웹 개발 또한 여기에 해당하는 활동입니다.

 

어떻게에 해당하는 활동은 다른 단어로 차별화(differentiation)와 포지셔닝(positioning)이라 부릅니다.

 

앱과 웹 서비스에서 차별화(differentiation)는 단지 다른 앱/웹과 다른 UI 및 기능을 의미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사용자가 구분하는 수익성 있는 다름을 의미합니다. 이를 일반적으로 부를 때는 경쟁 우위의 앱/웹 기능 및 UI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별화(differentiation)를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그 앱 서비스 또는 웹 서비스는 확실히 다른 앱과 웹과 다르며, 더 좋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을 포지셔닝(positioning)이라 합니다.

 

앱과 웹 서비스에서 차별화(differentiation)가 기능을 개발하고 UI를 디자인하는 등의 작업을 말하는 것이라면, 포지셔닝(positioning)은 이를 통해 사용자가 더 나은 UX를 기억하고, 이용을 선호하게 되며, 스마트폰 점유율 및 사용자 인지 점유율을 높이는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획 시 의도된 차별화(differentiation)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 또는 달성한 것을 포지셔닝(positioning)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포지셔닝(positioning)이 효과적으로 완료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더 나은 UX(사용자 경험)를 말하게 됩니다.

 

어떻게 앱과 웹 서비스를 할 것인가가 완료된 결과 긍정적이고 더 나은 UX가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설명되는 UI/UX 기획 

 

이를 통해서 우리는 기획 이론적 측면에서 UI/UX 기획은 누구에게 어떻게 앱과 웹 서비스를 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과 실행이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앱과 웹 개발에 투영된 실행 실무가 바로 우리가 현업에서 하고 있는 UI/UX 기획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UI/UX 기획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세분화(segmentation) 및 타기팅(targeting)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실제 우리 앱과 웹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좋아하지 않는 UI/UX가 제공되게 될 것입니다.

 

UI/UX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차별화(differentiation)와 포지셔닝(positioning)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굳이 우리 앱과 웹을 이용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아니면 가장 수익성 있는 방법이 아닌 차선, 차차선의 방법으로 서비스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말인 즉 단순히 목적인 앱과 웹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데는 굳이 누구에게,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가를 고민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수익성 있는 앱과 웹, 점유율을 생각한다면 최소한 세분화(segmentation)와 타기팅(targeting), 차별화(differentiation)와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한 기획 반영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