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이나 웹 개발 시 스토리보드는 기획 단계 최종 문서로 프로그램을 담당할 개발자나 디자이너에게 제공됩니다. 스토리보드를 토대로 개발자는 앱/웹을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테스트합니다. 그러므로 개발 대상에 대한 최종 문서로 스토리보드는 개발의 중심에 있게 됩니다.
스토리보드와 앱/웹 설계
이 점에서 스토리보드는 앱/웹의 기준 설계 문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스토리보드만으로 코딩과 디자인 작업을 하기에는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코딩 또는 디자인을 위한 기획/설계를 업무 수행 관점에서 작업해야 할 수 있습니다.
개발 세부 내용이 반드시 스토리보드에 모두 담겨 있지 않을 수 있지만, 개발 세부 내용이 반드시 스토리보드에 기반해야 함은 분명합니다.
스토리보드는 현 개발 프로젝트가 목표로 하는 앱이나 웹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스토리보드의 성질은 요구 사항에서 기능/화면 정의를 거쳐 진행된 기획 정리 작업이 스토리보드를 통해 사용자 중심적으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토리보드의 종류
크게 스토리보드는 사용자 관점과 관리자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자를 단순히 앱/웹 스토리보드라 하고, 후자를 관리자(admin) 스토리보드라 합니다.
이 두 종류 스토리보드는 앱/웹을 사용하거나, 앱/웹을 관리하는 기준으로 작성되는 차이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이 둘은 음과 양, 프런트 엔드와 백 엔드의 관계처럼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 관계는 기능 정의와 화면 정의의 내용을 통해 표현됩니다.
즉, 기능/화면 정의가 구체적으로 잘 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관리자 스토리보드가 따로 진행되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자 관점의 화면을 규정하는 스토리보드를 작성한 후,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admin)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것이 오류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만약 이커머스처럼 구매 사용자와 판매 사용자의 구분이 있는 경우 스토리보드는 크게 구매 사용자 관점, 판매 사용자 관점, 관리자 관점의 세 종류의 스토리보드가 필요하게 됩니다.
스토리보드 작성 방법과 장단점
스토리보드는 화면 구조 중심 작성 방법과 기능 흐름 작성 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방법의 장점과 단점은 분명합니다.
화면 구조 중심의 경우 사용자가 이용할 앱/웹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의 경우 실제 앱 구조와 거의 유사하게 스토리보드가 작성됩니다. 그러므로 앱/웹의 카테고리와 각 카테고리에서 파생되는 화면이 모두 표현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인이 필요한 앱/웹의 규모와 내용이 모두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실제 론칭될 앱/웹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중복 화면 또는 기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화면 유사한 화면이 여러 번 스토리보드에 표현되어 불필요하게 양이 많이 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스토리보드는 앱/웹 뷰 중심으로 작성될 가능성이 크므로 기능 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플로우를 놓칠 가능성이 큽니다.
기능 흐름 작성 방법은 앱/웹의 기능을 중심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합니다. 만약 수 십 개의 상품 카테고리가 있어도, 이는 상품 등록 기능 하나의 플로우로 모두 커버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앱/웹 코딩을 위한 설계서로 스토리보드는 효과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불필요한 중복 페이지가 최소화되므로 개발 혼동이 최소화됩니다.
그러나 고객이 론칭될 전체 앱/웹의 세부 페이지에 대한 디자인 요구를 할 경우 이에 대한 명확한 작업 규모 파악과 디자인 작업의 난이도에 대한 정의가 미흡하게 됩니다. 이 경우 앱/웹의 모든 페이지가 디자인 작업의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스토리보드 양식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스토리보드 양식은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필요나 협의에 따라 적절한 양식을 정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있습니다. 바로 기능과 화면의 구분이 표시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기능 번호, 화면 번호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요구 사항의 내용이 스토리보드에 모두 고려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됩니다.
또한 스토리보드의 각 페이지의 내용이 앱/웹의 어느 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것인지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획 툴을 사용할 경우 기능 상으로 어느 정도 자동 파악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PT 또는 기타 문서 툴을 사용할 경우 표시를 해야 합니다.
기획 툴을 사용하는 기획자가 항상 생각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이 툴 또한 개발된 앱/웹이라는 점입니다. 기획 툴을 사용하는 기획자는 사용자로서 앱/웹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획자의 편의는 바로 기획 툴 기획자의 설계에 의한 것이고, 기획 툴 개발 기획자는 아직 기획 툴이 론칭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스토리보드에서 앱/웹의 어떤 부분에 연결되는 것인지 체크하면서 작업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기획이란 무엇인가? (0) | 2023.05.09 |
---|---|
앱/웹 사업(비즈니스) 실패 이유 몇 가지 생각해 보기 (0) | 2023.05.08 |
화면 정의서와 기능 정의서 차이 구분 (2) | 2023.05.05 |
앱 개발 요구 사항 정리 및 구체화 (0) | 2023.05.04 |
벤치마킹이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와 패스트 팔로워 전략의 조건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