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기획, 웹 기획 시 스토리보드를 작성합니다. 그러나 영화나 드라마, 광고, 뮤직비디오를 만들 때도 스토리보드는 작성됩니다. 그럼 왜 전혀 다른 분야의 기획 시 스토리보드를 사용하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 이야기해 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IT 개발에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이유를 더 잘 알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스토리보드는 어디에 쓰는 것인가?
스토리보드는 이름 그대로 스토리를 적어 놓은 보드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스토리는 개발 또는 제작할 것에 대한 스토리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스토리보드를 활용할 사람들은 개발 또는 제작자입니다.
그래서 IT 개발 시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스토리보드를 보고 앱이나 웹 또는 시스템을 개발 작업을 하게 됩니다. 영화나 광고의 경우 촬영, 음향, 무대, 미술 등의 제작 스태프들이 이 스토리보드를 보고 작업 내용을 세팅합니다. 물론 배우들도 스토리보드를 보고 자신의 연기를 세팅하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흐름을 가진 콘텐츠를 개발/제작할 때 스토리보드가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앱과 웹을 이용하는 것도 흐름을 가진 작업이고, 또 UX라는 경험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마치 연기를 하는 배우와 같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가진 콘텐츠 개발자에게 정보를 전달해 주는 보드가 스토리보드인 것입니다.
앱/웹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면과 UI를 통해 피드백받는 내용들이 콘텐츠가 됩니다. 그래서 앱과 웹 이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만들어지는 것이 사용자 경험, UX가 되는 것입니다.
페르소나, 사용자 가상의 배우가 되다
온라인/모바일 게임에서 캐릭터는 사용 유저와 동일시되고는 합니다. 그래서 여러 아이템을 비싼 돈을 주고 구매하기도 하고, 심지어 캐릭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스킨도 캐릭터를 멋지게 꾸미기 위해 구매하기도 합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앱/웹을 이용하면서 일상과 다른 또 다른 자아를 아바타에 투영하게 됩니다. 이것이 사용자에게 UX가 됩니다.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면서 사람들이 내 사진에 좋아요를 누르고 나를 팔로워 하는 순간, 댓글에 통해 말을 거는 일 등이 하나의 경험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일들은 오프라인 상 실제 생활과 다른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험을 할 수 있게 시스템과 UI, 프로세스 등을 제공할 수 있게 설명된 보드가 바로 스토리보드라고 합니다.
그래서 스토리보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 것인가?
스토리보드는 특정 스토리 흐름을 개발하고, 제작하기 위해서 만드는 문서입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특정 개발/제작할 스토리를 중심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만약 스토리보드가 독립된 사진처럼 특정 시점, 상황만을 표현한다면 개발 또는 제작이 잘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시점과 스토리입니다. 시점들이 독립적이지 않고 연결되어 있을 때 사진은 스토리가 됩니다. 영화를 활동 사진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가 즐기는 영화나 심지어 게임 또한 초당 60장 또는 120장의 사진의 연속된 흐름입니다.
이 시점 사진 흐름을 개발/제작하기 위한 설명이 들어간 것이 스토리보드가 되는 것입니다.
영화나 광고의 스토리보드가 기본적으로 만화와 같은 장면을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글로 채워진 것도 이런 이유입니다.
앱이나 웹을 개발하기 위한 스토리보드 상단에 화면 흐름 상 위치를 표시하고 아래에는 화면의 구성을 그리고 옆에 설명을 적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스토리보드로 개발/제작할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설명 내용이 달라져야 합니다.
영화의 경우 장면 배경과 미술, 조명, 카메라, 의상, 배우의 연기, 음향 등 제작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이 적혀 있을 것입니다. 단지 그림과 대사만 있다면 영화가 아닌 만화일 것입니다.
앱/웹 스토리보드에는 화면의 구성과 느낌, UI와 작동되는 기능의 내용/방법 등이 정리되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스토리보드의 목적이 작동되는 앱/웹이 아니라 화면의 제작이라면 화면 설계만 되어 있어도 됩니다.
그러므로 엄밀히 화면 설계 스토리보드와 앱/웹 설계 스토리보드는 다른 스토리보드라 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보드를 가지고 개발할 내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IS, 기존 시스템이 있을 때 화면 설계 방법 (2) | 2023.12.27 |
---|---|
사용자는 왜 앱을 사용하는가? 점유율 차이의 이유 (0) | 2023.12.20 |
리니지류 게임이 돈 버는 이유. 앱 수익모델에 대해 생각해 보기 (1) | 2023.12.19 |
기획자와 앱/웹 아키텍처 (1) | 2023.12.18 |
앱 경쟁 우위의 비밀 (1) | 2023.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