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앱이나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앱 또는 웹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정리되어야 합니다. 흔히 화면 설계 또한 화면 아키텍처라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앱/웹을 개발하기 위한 구조 설계에는 어떤 것이 있고 기획자의 업무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앱/웹 구조 설계
앱이나 웹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에 대한 정의가 필요합니다.
일단 WEB, WAS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의 구조 설계가 있어야 합니다. 앱은 사용자 스마트폰에 다운되어 설치되고 웹 사이트는 접속하면 이용할 수 있지만 화면이 제대로 보이고 기능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WEB, WAS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앱/웹은 데이터로 작동합니다. 사용자의 회원 가입, 로그인/아웃 등 또한 데이터입니다. 이러한 앱/웹 관련 각종 데이터 정의와 관리, 연결 구조 등의 설계가 앱/웹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필요합니다.
그리고 앱 또는 웹이라 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입니다. 그래서 이를 앞 글자만 따서 APP이라 합니다. 이에 대한 구조와 개발 방식 등에 대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DA, TA, AA를 일반적으로 앱 설계라 부릅니다. DA, TA, AA는 앞에서부터 데이터 아키텍처, 테크니컬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라 부릅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앱/웹 개발에 투입되는 기획자의 역할은 아닙니다. 기획자는 이들보다 앱과 웹 관련 BA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BA에서 바로 화면 설계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BA는 비즈니스 아키텍처로 앱/웹 관련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작업합니다.
BA는 사용자 대상 앱/웹보다 ERP 같은 프로그램 적용에 투입됩니다. 우리가 앱스토어서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사용자 대상 앱에서는 이 BA 역할을 창업자, PO 등이 담당합니다.
예를 들면 SAP와 같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경우 일정한 경영 조건에 따라 기본 시스템이 이미 개발되어 있습니다. 특히 많이 사용하는 회계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사나 기업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국제회계 기준, 한국 회계 기준에 따라 작업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기준 또한 회계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세팅되어 설루션으로 출시됩니다. 그러나 이는 정확히 그 기업의 회계 및 관리 프로세스와 맞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SAP를 해당 기업에 맞게 세팅 또는 커스터마이징 해야 합니다. 이를 BA, BP(비즈니스 프로세스)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앱스토어서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앱의 경우 이러한 기본적인 BA, BP는 PO가 작업합니다. 그리고 이를 개발 담당 기획자에게 전달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BA, BP 내용이 앱 개발적으로 부족할 수 있기에 기획자는 개발자가 확인할 수 있게 구체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작업을 기획자가 하는 앱 구조 설계(앱 아키텍처)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BA(비즈니스 아키텍처)에서 앱 개발 기획으로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개발 관련 내용이 구체적이어야 하고 빠짐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종종 화면 설계만으로 개발에 실패하는 것입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는 화면으로 보이는 것도 있지만 아닌 것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면 설계만으로는 보이지 않는 프로세스가 빠지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화면 설계 시 DA, TA, AA와 협의를 하면서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화면에 보이지 않는 프로세스를 반영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DA, TA, AA는 개발자이므로 앱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UX 프로세스, 사용자 이용 플로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를 잘 표현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기획자는 이를 보완해야 합니다. 그리고 PO나 고객과 협의를 통해 구체적 개발 내용을 고정해야 합니다.
또 앱 개발 프로젝트 중 많은 실패가 이것도, 저것도 모두 해준다고 했기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것은 개발 중 주로 프로그램 개발자와 관련 있는 내용입니다. 그러면 기획자는 개발자 중 디자이너와 어떤 관계를 가지게 되는지 추가되어야 합니다.
BA(비즈니스 아키텍처)에서 앱 디자인 기획으로
앱이나 웹에서 BA는 결국 UX를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이용하게 되는 모든 앱과 웹의 내용들은 모두 사용자 경험의 형성 요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BA에는 UI나 화면 구조, 배치, 색 등 전반적인 사용자 뷰를 정의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되게 됩니다. 또한 앱/웹 관련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정리하면 UX 프로세스가 됩니다. 그리고 이는 사용자 플로우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흐름을 설명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흐름에 따라 어떤 작용을 해야 하고, 어떤 결과를 유도해야 하는지 설명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는 UX 설계서가 됩니다. 그리고 이를 사용자 경험 아키텍처라 부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사용자 플로우 작업은 디자이너와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중 UX 디자이너와 함께 하면 좋습니다. UX 디자이너는 UI 또는 앱/웹 디자이너 중 인지 심리학 지식이 추가된 디자이너야 합니다.
이렇게 앱/웹 기능의 뷰 프로세스가 정리되면, 카테고리와 함께 전체 앱/웹의 화면을 구조화합니다.
화면 구조화 작업을 화면 정의서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화면 아이덴티티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화면 ID는 단지 UI 및 사용성 높은 화면 구성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로 개발할 앱이 가진 유니크한 모습, 지켜야 할 디자인 규칙 또한 포함합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보드는 왜 작성하는 것일까? (4) | 2023.12.20 |
---|---|
리니지류 게임이 돈 버는 이유. 앱 수익모델에 대해 생각해 보기 (1) | 2023.12.19 |
앱 경쟁 우위의 비밀 (1) | 2023.12.17 |
사용자 경험은 어떻게 설계하는 것인가? (2) | 2023.12.17 |
왜 롯데온과 SSG닷컴은 쿠팡에 안될까? (0) | 2023.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