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서비스명, 디자인, UI의 관계와 사용자 경험

by 애플_피시 2023. 1. 15.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를 기억할 때 서비스명이나 디자인 또는 UI를 떠올릴 것입니다. 아마 우선적으로 서비스 이름을 통해 전반적 화면 기억과 사용의 편리함 등이 연속적으로 떠오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전체적인 서비스 느낌을 인출하며 경험을 떠 울릴 수도 있습니다.

 

 

글에서 다룰 사용자 경험 

이 글에서 다루려는 사용자 경험은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순간의 경험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한 후 로그아웃 상황에서 떠올려지는 사용자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 다루는 사용자 경험은 실제 서비스 경험보다 서비스 경험에 대한 기억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저장과 인출 그리고 데이터화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바로 사람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인식, 데이터화, 저장, 데이터 인출 등에 대한 것입니다. 하나 주의할 점은 앞으로 우리는 저장 시 데이터와 인출 데이터가 다룰 가능성이 크다는 관점하에서 사용자 경험을 이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경험을 떠올리는 기억 인출의 단서

사용자 경험은 인출될 수 있을 때 의미를 가집니다. 아무리 좋은 기억이 저장되어 있더라도 인출되지 않는다면 경험으로의 의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문제는 때로는 과거 경험의 기억이 다른 것들과 섞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서비스명을 통해 이런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명은 사용자의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기억을 카테고리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종의 폴더명처럼 다른 서비에 대한 기억과 겹치지 않게 만들어줍니다.

 

하지만 서비스 내용과 서비스명의 연결이 약할 경우 서로 다른 서비스의 기억은 섞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SNS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버즈의 원천을 헷갈리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다른 사람이 한 말을 특성 친구가 했다고 기억하고 있는 것에서도 이 현상을 알 수 있습니다.    

   

 

기억의 연결 디자인과 UI

서비스와 경험의 연결을 강하게 하는 것은 디자인과 UI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로 대상과 대상의 연결 관계를 통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를 외운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단순히 단어 자체를 외우는 것보다 단어가 쓰이는 상황을 생각하면서 외우면 더 잘 외워집니다. 특히 한 두 개 단어를 외울 때는 느껴지지 않지만, 많은 단어를 외울 때는 기억하는데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디자인과 UI는 해당 서비스의 경험을 인출하는데 이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서비스 차별화는 실제 사용할 때의 차별적인 요인에 대한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의외로 실제 서비스가 차별적이라는 느낌은 서비스 이용 이후 다른 서비스를 사용할 때 작용한다는 점에서 서비스 경험 기억의 인출이 중요한 차별화 포인트 인식 요인이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물론 경쟁 서비스가 전혀 없다면 상관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디자인과 UI를 설계해야 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이것은 경쟁 상황과 서비스 내용, 전술적 위치, 전략의 방향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현재 파악되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피드백 데이터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정리하면 절대적으로 좋은 디자인과 UI는 없다는 것입니다. 현재 상황을 파악하여 디자인과 UI를 적용하고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정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점이 앱이나 웹 사이트 개발 관점의 디자인과 UI, 서비스 기획 관점의 디자인, UI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