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앱이나 웹 기획 시 IA를 작업한다 하면 메뉴를 구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IA는 화면 정의서의 기준이 됩니다. 그럼 왜 앱/웹의 메뉴가 IA(information architecture)이고 이를 정보 구조도라 하는지 궁금증이 들 것입니다. 최소한 기획을 하면서 저는 그러했습니다.
IA가 화면 정의서의 시작인 이유
화면 정의서는 사용자 관점에서 앱 또는 웹의 구조와 형태를 정의한 문서입니다. 여기에는 기본 뼈대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관점의 앱/웹의 이 뼈대는 메뉴의 형태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앱/웹의 메뉴를 따라 사용자가 얻게 될 콘텐츠와 정보들이 배치되게 됩니다. 이렇게 앱/웹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를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IA(information architecture) 부르는 것입니다. 또 IA의 표현 형태가 메뉴와 같기에 보통 IA를 작업한다 하면 메뉴 작업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꼭 앱/웹의 메뉴가 IA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Information Architecture 단어대로 기획자가 의미하는 정보의 제공을 구조화하기만 하면 됩니다.
아마 어떻게 하든 메뉴 비슷해 보이기는 할 것입니다. 그 이유 또한 기획자의 뇌의 Information Architecture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를 정보 구조화의 틀인 스키마에 대입하여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자뿐 아니라 기획자, 즉 사람의 정보 구조 체계 때문에 앱/웹의 의도하는 사용자 제공 세부 콘텐츠 또는 정보 IA(information architecture)에 연결됩니다. 그래야 앱/웹 내비게이션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어쩔 수는 없습니다
사용자 검색 편의
IA(information architecture) 기반으로 앱/웹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와 콘텐츠를 정리하는 것은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패션과 주방이라는 메뉴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메뉴를 본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패션 메뉴에는 옷이, 주방 메뉴에는 냄비 같은 것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용자의 생각은 다른 앱을 사용한다고 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앱이 아니라 패션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정보 구조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앱 이용 편의성은 향상됩니다. 또한 특정 브랜드 상의를 원할 때 이 정보 구조를 따라가는 것만으로 쉽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됩니다.
앱/웹 이용 강화
이러한 사용자의 앱/웹 이용 시 행동 패턴 때문에 IA(information architecture), 메뉴는 앱/웹의 차별화나 사용자 강화에 활용되기도 합니다.
최근 쇼핑 앱을 보면 메인 페이지에 노출되는 메뉴가 상품 카테고리 기반이 아니라 행사 기반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카테고리 메뉴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앱 화면 아래 또는 상단의 햄버거 모양을 통해 카테고리 메뉴가 차지하는 영역은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사용자를 유도하는 메뉴는 직접적인 행사명으로 기존 카테고리 메뉴가 위치하는데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앱/웹이 사용자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앱 전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앱의 IA(information architecture) 이면서, 앱 기획자의 IA(information architecture)인 것입니다.
이용 강화는 단지 메뉴의 변화만으로 달성되지는 않습니다. 메뉴 하위 콘텐츠와 이에 반응하는 패턴의 데이터를 통해 조금씩 의도에 가까워질 수 있을 뿐입니다.
하지만 메뉴의 변화는 IA(information architecture)라는 단어처럼 반복적으로 앱/웹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구조에 영향을 줄 수는 있습니다.
이 영향이 긍정이냐, 부정이냐는 차치하고 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반복입니다. 바로 변경된 메뉴가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 만으로 단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학습은 개별 사용자의 스키마에 영향을 줍니다. 스키마와 IA(information architecture) 궁합 수준은 별건이지만 영향은 발생합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과 웹 제품 기능과 감성이 만드는 차이로 살펴보는 기획자의 필요성 (0) | 2023.07.01 |
---|---|
앱/웹 기획 시 프로세스 설계를 하지 않는 이유 (0) | 2023.06.30 |
그런데 앱이나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데 기획자가 왜 필요한 것일까? (0) | 2023.06.27 |
앱과 웹사이트를 개발 시 스토리보드는 작성 이유와 PPT, 피그마, 어도비XD가 기획툴이 된 이유 (0) | 2023.06.24 |
스마트폰 앱, 웹 사이트 개발을 위한 기능 정의서 작성 방법 (0) | 2023.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