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서비스와 온라인 서비스 비즈니스 및 서비스 환경에 대한 기획에 대하여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간단히 온라인 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기획 대상이 온라인 서비스인 경우 진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서비스란?
최종 소비자인 사용자(온라인 서비스 유저)가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게 되는 서비스 상품을 온라인 서비스라고 합니다.
여기서 서비스는 무형의 경험 상품으로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가 상호 작용하면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이를 온라인 서비스에 대입해 보면,
온라인 서비스는 플랫폼(온라인 프로그램)을 매개로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가 상호작용합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의 매개가 되는 온라인 프로그램을 앱 또는 웹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온라인 서비스는 앱과 웹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이용되는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먼저 기획은 대상에 대한 미래 목표 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을 진행시켜 목표를 달성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를 온라인 서비스에 다시 대입해 보면,
앱과 웹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이용되는 서비스 상품을 개발/제공하기 위한 계획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이 비즈니스 성격을 가지기 위해서는 앱과 웹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이용되는 서비스 상품이 수익성을 가져야 합니다. 수익성은 매출뿐 아니라 비용에 기인합니다. 그래서 비즈니스는 매출 발생 계획뿐 아니라 비용 관리 계획도 고려합니다.
여기서 수익성은 사용자 가치에서 나옵니다. 그래서 서비스 기획은 해당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 예상되는 사용자들의 욕구, 욕망, 니즈, 가치 등에 기반하여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UX(가치에 기반한 유저 경험)에 기반합니다.
온라인 서비스 기획 정리
-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기획 : 인터넷을 통해 이용되는 서비스 상품에 대한 기획
- 온라인 서비스 제공 기획 :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상품이라는 특성상 온라인 프로그램인 앱과 웹을 통해 제공. 그러므로 앱과 웹 개발이 진행됨.
- 온라인 서비스 기획 시 조건 :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수익성
- 온라인 서비스가 수익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 :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앱/웹 사용자의 욕구, 니즈, 가치 등에 대한 충족 정도.
- 시장에서 발생하는 다수 온라인 서비스 제공 기업이 있는 경우 : 경쟁 발생에 따른 대응 기획 필요
- 다수 온라인 서비스 간 경쟁에서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 : 온라인 서비스 전략 수립 및 실행
- 온라인 서비스 전략 기획 과정 : 시장 파악 ▶서비스 가설 수립 ▶ 서비스 전략/전술
- 온라인 서비스 내용 기획 : 수립된 서비스 가설 ▶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앱/웹 사용자 파악 ▶서비스 정책/구조/기능 설계
-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프로그램 개발 과정 : 앱/웹 사용자 니즈, 욕구, 가치 구현을 위한 서비스 정책/구조/기능 내용 ▶ 서비스 비즈니스 아키텍처(BA) ▶ IA ▶ 기능정의, 화면정의 ▶ 개발 방식/작업 흐름 결정 ▶ 스토리보드 작성 ▶세부 개발 진행
이상 온라인 서비스 기획은 무엇이고 어떻게 기획해야 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추가의견
위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 서비스 기획에서 수익성 및 경쟁 우위를 위한 기획과 온라인에서 수익성 있는 서비스를 위한 기획, 온라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획은 서로 다른 성격의 기획이라는 점입니다.
이 세 가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면,
- 아직 기획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거나
-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거나
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좀 더 기획이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공부가 필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이를 관련 실무 경험이 없다거나, 실무를 할 수 없다는 말은 아니라는 점은 기억해야 합니다.
실무는 현장에서 업무를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왜 그 일을 그렇게 해야 하는지, 상황이 달라졌을 때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위의 공부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실무 현장에서 주어진 기획 업무를 잘하느냐 못하느냐와는 위 공부와 관련이 작을 수 있습니다. 단지 스스로 상황을 파악하여 어떤 일을, 어떻게 처리할지 알기 위해 공부가 필요한 것입니다.
AI(인공지능) 시대인 지금은 반복된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기억에 기반하여 기획을 하는 방식은 손쉽게 AI에 대체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니 AI가 더 빠르고, 깔끔하게 그런 일은 더 잘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실무 현장의 기획 업무는 AI로 조만간 대체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현장의 일부 기획 업무는 chat GPT, 코파일럿 같은 프로그램이 대체하고 있기도 합니다. chat gpt1~4 그리고 o에 이르기까지 더 이상 기억과 과거 업무 방식에 기인하는 기획은 인공지능 AI를 이길 수 없는 세상이 점점 되어가고 있습니다.
(추가 의견은 최근 몇 년 온라인 프로젝트 현장에서 다양한 기획자를 만나서 일을 하면서 경험한 제 생각을 정리한 것입니다. 경영 전략 기획이나 마케팅 기획, 서비스 기획 등 대학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조직과 기획 방법론을 적용하여 판단한 것입니다.)
'정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웹 개발을 위한 기획 과정 요약 (0) | 2024.07.01 |
---|---|
앱과 웹의 기능정의서와 화면정의서 구분 간단 정리 (0) | 2024.06.11 |
기획 공통 핵심 요소 분석력, 단순화, 연결 상상력 설명 (0) | 2024.05.11 |
앱, 웹 관련 기획 목표에 대한 인식 (0) | 2024.05.08 |
기획 작업의 이해를 위한 기획 특성 파악 (0) | 2024.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