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과 웹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때로는 디자인과 화면 설계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도 있습니다. 단지 디자이너와 기획자 구분 정도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디자이너와 기획자 협업은 말로 진행되고, 기획서는 단지 화면을 PPT에 그리는 수준에 머무르게 되기도 합니다.
화면 설계의 목적
(1) 화면 설계의 주목적은 프런트(화면) 개발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면 설계서는 프런트(화면) 개발자와 화면 디자이너의 작업 설계도 역할을 합니다.
(2)이 점에서 화면 설계는 사용자와 앱 또는 웹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UI 컴포넌트가 서버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내용도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 디자인의 위한 화면 구성 및 아이덴티티 등 가이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위의 (1)은 화면 설계의 목적을, (2)는 이 목적을 위해 파생되는 업무를 말합니다.
우리는 여기서 근거와 작업, 기획 내용의 선후 관계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화면을 설계하려면 근거가 되는 선 작업이 무엇인가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아니 들어야 정상이기는 합니다.
쿠팡과 지마켓 화면이 다른 이유
쿠팡과 지마켓은 같은 이커머스 서비스인데 화면이 다릅니다. 화면이 다른다는 말은 화면 설계도 달랐다는 말이 됩니다. 바로 이 다른 이유가 화면 설계를 위한 조건이 됩니다.
앱이나 웹으로 판매할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결제하고, 배송하는 것은 쿠팡과 지마켓은 같습니다. 그러나 이를 진행하는 방식은 다릅니다. 이를 전략과 정책이라 합니다.
보통 앱과 웹의 정책과 전략은 (1)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BM)에 기반합니다. 그리고 이 BM이 앱/웹 개발 프로젝트로 가면 (2-1) BA(비즈니스 구조)의 형태로 개발 가능하게 구조화됩니다. 이 앱과 웹의 형태로 구조화된 것을 바탕으로 앱과 웹에 적용될 (2-2) 정책이 반영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기획의 내용은 비즈니스 모델(BM)에서 앱과 웹의 BA(비즈니스 구조)로 연결되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다시 앱/웹의 비즈니스 구조와 정책이 결정되면 이는 (3) 요구 사항이라는 형태로 전달되게 됩니다. 이 요구 사항에서 앱과 웹 개발에 필요한 (4) 기능정의, 화면정의가 진행됩니다.
이 기능정의와 화면정의 중 화면정의의 내용이 (5) 화면 설계를 위한 기본 자료가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위에서 카운팅 된 최소 5단계에 걸쳐서 화면 설계가 되고 개발이 되므로 같은 이커머스라도 쿠팡과 지마켓의 화면이 다른 것입니다.
화면 설계를 위한 조건
지금까지 이야기를 뒤로 돌리면 화면 설계를 위한 조건을 알 수 있습니다.
화면 설계를 위해서는 화면정의서가 필요합니다. 화면 정의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요구 사항 분석 및 상세화가 필요합니다. 각 앱과 웹마다 요구 사항은 다를 것이므로 해당 앱/웹의 화면정의를 위해서는 요구 사항 분석 및 상세화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요구 사항이 정리되기 위해서는 앱과 웹의 BA(비즈니스 구조)와 정책이 정해져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앱과 웹의 BA(비즈니스 구조)와 정책을 정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전략이 확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화면 설계를 위한 조건의 연속적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프로세스를 통합적인 앱/웹 기획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획은 말로 되어서는 전달이 모호해집니다. 그래서 이를 문서화하여야 합니다.
오픈 ai가 chatGPT를 말로 개발하지는 않았습니다. 애플 또한 아이폰을 말로 개발하지 않았습니다. 개발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말로 기획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개발 규모가 현저히 작은 경우로 제한됩니다.
이 문서화 수준 또한 화면 설계를 위한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건이기에 앞서 화면정의서 문서화, 요구 사항 문서화가 화면 설계 시 당장 확인 되는 문서화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획 프로세스 조건과 문서화 조건, 두 가지를 화면 설계의 조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앱기획 웹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이나 웹 개발 과정 중 기획 단계에서 화면 설계가 마지막인 이유 (0) | 2024.06.17 |
---|---|
온라인 서비스 기획자는 왜 앱과 웹을 서비스 하려고 하는가? (0) | 2024.06.10 |
구분해 보는 스토리보드와 화면 설계의 미묘한 차이에 대한 부분 (0) | 2024.05.31 |
드라마 삼체로 살펴보는 앱과 웹 초기 기획이 잘못되면 개발이 어렵게 되는 이유 (0) | 2024.05.30 |
앱과 웹에 있어 서비스 기획의 의미 - 인수 전후 지마켓 케이스 검토 (0) | 2024.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