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사용자가 많은 앱을 기획해야 하는 이유

by 애플_피시 2023. 12. 4.

기획자는 사용자가 많을 앱을 기획하려 합니다. 물론 기획 성공의 지표가 사용자이기도 하지만, 이를 지표로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많은 앱이 투자나 수익을 올리기 더 쉽기 때문입니다. 기획자가 기업의 직원인 경우 당연히 투자가 수익이 높은 앱을 기획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은 평가를 할 것입니다.

 

 

 

기획자 개인의 이유 

 

기업에 더 많은 기여를 하는 기획자가 더 높은 평가를 받을 것이고, 이는 연봉이나 승진에 반영될 것입니다. 때로는 스톡옵션으로 대박을 터뜨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직을 할 때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앱을 기획했다는 사실은 경력자에게 무엇보다 좋은 커리어가 됩니다.

 

이렇듯 기획자 개인적 입장에서도 사용자가 많은 앱을 기획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기획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남기는 합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의 문제이지 기획자나 개발자, 디자이너의 선택 사항은 아닙니다. 하물며 광고를 하고 혜택을 주는 프로모션을 한다고 해도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이점이 되지 않는다면 상관없는 광고와 이벤트가 될 뿐입니다.

 

 

 

기업 입장의 이유

 

기업이 앱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수반되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매출이 보이지 않는 비용을 지출하는 것은 기업 관점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앱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퍼블리싱한 후, 프로모션 하여 사용자를 모아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사용자를 모아가는 과정에서도 매출이 일어나리라는 보장은 없는데 비용은 계속 발생한다면  아무리 기업이라도 초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비용을 쓰는 과정에서도 미래 매출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는 징후가 있어야 기업도 계속 비용을 댈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마일스톤을 통해 진행의 중간 성과를 확인하고, 계속 일을 진행할 수 있는 동력을, 마음을 다 잡는 것과 같이 말입니다.  

  

 

 

사용자가 많다는 의미

 

앱에 있어 사용자는 비용이자 수익원입니다. 그래서 사용자를 온라인 서비스 자산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물론 사용자가 많다고 해서 매출이 반드시 발생한다고는 할 수 업습니다. 그러나 확실히 매출 발생 확률은 사용자가 적은 앱보다 높으며, 매출이 발생하면 더 많은 매출이 될 것이 분명합니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만 보아도 사용자의 많음이 매출과 연결되는 것은 증명된 듯 보입니다.

 

하지만 수익화에 성공 못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뉴스에 나오지도 않고, 많았던 사용자들이 급격히 줄어든다는 점에서 많은 사용자가 반드시 매출로 이어진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온라인 서비스 사용자는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온라인 서비스 자산인 것은 분명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