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기획 웹기획

IA, 사이트 맵, 카테고리 그리고 프로세스와 UX

by 애플_피시 2024. 1. 10.

이 블로그 다른 글에서 IA가 사이트 맵 같은 것이라 했습니다. 이는 해당 앱이나 웹 사용자에게 사이트 구조와 이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럼 프로세스와 카테고리, UX와 IA는 어떤 연관이 있는 것일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도서관에서 책 찾기와 IA

IA에 대해 생각을 할 때 앱이나 웹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콘텐츠 또는 기능을 도서관의 책으로 놓고 생각을 하면 좋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도서관 가서 책을 찾을 때 경험을 떠 올리면서 앱/웹의 정보 구조(IA)를 정리해 보면 조금 더 쉽고 편하게 작업되는 듯합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분류하고 정리해 놓은 것을 보면 정말 체계적으로 잘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거대한 도서관에서 수만 권의 책 중에서 필요한 책을 쉽게 찾게 되고 또 다른 책을 찾으러 갈 때면 도서관 체계와 같이 앱/웹에서 사용자들이 원하는 기능과 콘텐츠를 찾을 수 있다면 정말 편리한 이용이 될 것이라 생각을 하고는 합니다.

 

 

 

카테고리 작업을 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카테고리는 유사한 유형 또는 성격의 것들을 모아 놓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원숭이, 판다, 바나나를 카테고리로 묶는 작업을 시키면 동양인은 원숭이와 바나나를 하나로 그룹핑하고, 서양인은 원숭이와 판다를 카테고리화 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카테고리화는 일종의 사고의 작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앱이나 웹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이러한 카테고리화된 사고는 작동을 합니다. 그러므로 동양인의 경우 원숭이가 있는 카테고리에 바나나가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찾는데 어렵지는 않을 수 있지만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는 자연스럽지 않기에 두뇌가 또 다른 프로세스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종종 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 무의식적인 행동을 합니다. 생각을 할 때도 어떤 단서가 주어지면 다른 부분은 고려하지 않고 미리 결론을 내려 무의식적으로 말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사고의 프로세스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프로세스와 UX 그리고 IA

 

앱과 웹에서 사용자의 이용 프로세스는 느껴지는 편리함과 불편함, 노력과 자연스러움 등으로 인해  사용자 경험(UX)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리고 프로세스는 카테고리화된 IA 또는 사이트 맵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됩니다.  

 

그렇다고 편리함과 자연스러움 등이 언제나 훌륭한 UX를 형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일상의 고가의 많은 것들은 불편하고 부자연스럽습니다. 명품 옷은 관리가 어렵고, 명품 카메라는 중저가 카메라보다 사용이 어렵습니다. 

 

이 또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위치한 카테고리에 따라 편리함과 자연스러움, 불편함과 노력이 만드는 사용자 경험(UX)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입니다.

 

다시 도서관의 책의 위치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에서 모든 책이 이용자가 찾기 편한 위치에 존재할 수는 없습니다. 공간이라는 것이 위치에 제한 조건이 됩니다. 

 

사용자의 뇌에 느껴지는 것 또한 비슷합니다. 많은 제품과 서비스가 비슷한 뇌의 카테고리에 위치한다면 그 제품은 사용자 뇌에서 인출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다고 불편하다고 모두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최소한 불편함에도 가질 만한, 이용할 만한 가치는 존재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불편함은 일종의 차별화로 작용할 것입니다. 그리고 불편함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이용자의 전문성 또는 차이를 만들 것입니다. 

 

명품에 있어서 관리가 어려운 명품을 잘 입고 쓸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 사람의 경제력과 사회적 위치가 인식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단지 돈이 많다는 것이 아닌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합니다. 망가지기 쉬운 제품을 잘 이용하는 것도 다 그 사람이 그런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외에도 상징성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카테고리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명품이라는 콘텐츠는 온라인 세상의 IA가 아닌 리얼 세상의 IA(정보 구조)로 작용을 합니다. 

 

 

댓글